연예큐브

서희원, 떠난 자리에..남겨진 1200억 유산 운명은?

 대만판 '꽃보다 남자'의 여주인공 '산차이'로 아시아 전역에 수많은 팬을 거느렸던 배우 서희원(쉬시위안·48)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면서 큰 슬픔을 남겼다. 

 

지난 3일, 일본 가족 여행 중 독감으로 인한 폐렴 합병증이라는 비보가 전해지면서 팬들은 물론, 동료 연예인들도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2022년 3월, 20년 만에 재회한 가수 구준엽과 결혼하며 새로운 행복을 찾은 지 불과 1년 만에 일어난 비극이라는 점이다.

 

서희원은 1994년 동생 서희제와 함께 그룹 'SOS'로 데뷔하여 발랄한 외모와 톡톡 튀는 매력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이후 배우로 전향하여 2001년 대만판 '꽃보다 남자'인 '유성화원'에서 여주인공 '산차이' 역을 맡아 아시아 전역에 신드롬을 일으키며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2011년 중국의 사업가 왕소비와 결혼하여 1남 1녀를 두었지만, 2021년 10년 만에 파경을 맞았다. 

 

이혼 후 왕소비와의 양육권 다툼, 재산 분할 문제 등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던 서희원은 20년 전 연인이었던 구준엽과의 재회로 다시 한번 세간의 화제를 모았다. 두 사람은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변치 않는 사랑을 확인하며 2022년 3월, 혼인신고를 하고 법적 부부가 되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서희원은 다시 찾은 사랑을 오래도록 누리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팬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을 뿐 아니라, 남겨진 1200억 원대 유산과 두 자녀의 양육권 문제까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서희원은 생전 6억 위안(약 1200억 원)에 달하는 상당한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만 250억 원에 달하며, 전 남편 왕소비와의 이혼 합의금까지 더하면 그 규모는 더욱 커진다. 

 

대만 법률에 따르면 유언장이 없는 경우, 배우자와 자녀가 유산을 나눠 상속받게 된다. 하지만 구준엽과 서희원의 혼인 기간이 1년 남짓으로 짧아, 구준엽이 상속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성년 자녀 2명의 양육권은 전 남편 왕소비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대만 법원은 친부의 동의 없이는 친모의 가족도 아이들을 데려갈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왕소비가 과거 서희원과 이혼 후 양육비 미지급, 가짜뉴스 유포 등으로 법적 분쟁을 벌여왔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서희원 유산의 상당 부분이 왕소비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대만 현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왕소비는 서희원과 구준엽의 결혼 이후에도 재결합을 바란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서희원의 사망으로 유산과 양육권을 둘러싼 왕소비와 구준엽 사이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서희원의 죽음은 단순한 비보를 넘어, 남겨진 사람들에게 풀어야 할 숙제를 남겨놓은 채, 더욱 안타까운 이야기로 남게 되었다.

 

5월 황금연휴... 국내는 바다, 외국인은 전통 도시가 인기

렷하게 다른 여행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표했다. 국내 여행객들은 한적하고 매력적인 해안 소도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외국인 여행객들은 대도시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문화와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지방 중소도시로 발길을 돌리는 모습이다.부킹닷컴의 분석에 따르면, 전년 대비 검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국내 여행지는 포항, 목포, 부산, 통영, 경주, 속초, 강릉, 거제, 군산, 남해 순으로 집계됐다. 이 목록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포항(1위)을 필두로 목포, 통영, 거제, 군산, 남해 등 해안 소도시들이 대거 약진했다는 점이다. 이는 탁 트인 바다 풍경 속에서 한적한 분위기와 지역 특유의 매력을 즐기려는 '로컬 감성'과 '힐링 여행' 수요가 증가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부킹닷컴 측은 "바다와 인접한 도시들이 인기를 얻으며 해안 드라이브, 미식, 그리고 온전한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이 늘었다"고 분석했다.특히 검색량 증가 1위를 기록한 포항은 과거 산업도시 이미지를 벗고 최근 젊은 세대 사이에서 '감성적인 해변 도시'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영일대 해수욕장의 아름다운 야경, 포스코의 독특한 풍경, 그리고 해맞이 명소 호미곶 등 지역만의 개성 있는 명소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며 새로운 여행지로 급부상한 결과로 해석된다.그렇다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 여행객들은 어디로 향할까? 숙박 검색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외국인 인기 여행지 TOP 10은 서울, 부산, 제주, 인천, 대구, 서귀포, 경주, 전주, 속초, 수원 순이었다. 서울과 부산이 여전히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임은 변함이 없지만, 경주, 전주, 속초 등 한국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대표하는 지방 중소도시들이 상위권에 포함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외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나 빼어난 자연경관을 직접 체험하려는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가 상위권에 자리한 것은 이러한 문화 중심형 여행 선호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객의 출발 국가 순위에서는 일본과 대만이 지리적 접근성, 환율, 항공편 확대 등의 요인으로 부동의 1, 2위를 지켰다.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 미국, 독일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장거리 국가들이 순위권에 진입했다는 것이다. 이는 팬데믹 기간 동안 억눌렸던 장거리 해외여행 수요가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한국이 이들 국가 여행객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이번 부킹닷컴의 분석은 5월 황금연휴 기간(숙박 체크인 기준)의 숙박 예약 및 검색 데이터와 5월 3일부터 6일까지의 출발 기준 항공편 데이터를 전년 동기 대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