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영하도 녹인 '샤넬 오픈런'..끝없이 오르는 명품 누굴 위한 걸까?

 지난 3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현대백화점 판교점 앞은 영하의 날씨에도 불구하고 긴 줄이 늘어서 있었다. 개점까지는 아직 한 시간이나 남았지만,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까르띠에' 매장 앞은 50명이 넘는 인파로 북적였다. 바닥에 앉아 담요와 핫팩으로 추위를 견디는 사람들의 목표는 단 하나, 바로 가격 인상 전에 원하는 제품을 손에 넣는 것이었다.

 

까르띠에는 4일부터 국내 판매 제품 가격을 5~6% 인상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

 

명품 커뮤니티와 예물 관련 온라인 카페에서는 까르띠에 '오픈런' 정보 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새벽 6시에 도착했는데 이미 10명 이상 줄을 서 있었다", "인기 모델은 이미 품절"이라는 후기가 줄을 이었다.

 

이날 오전 8시 현대백화점 판교점을 찾은 김모씨는 "오픈런에 두세 시간 투자해서 몇십만 원 아낄 수 있다면 해볼 만하다"며 "가격은 계속 오르는데 조금이라도 빨리 사는 게 이득"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명품 브랜드들은 원·달러 환율 상승과 원자재 가격 급등을 이유로 잇달아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오픈런' 현상이 단순한 소비 추세를 넘어 사회적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점이다. 줄서기 아르바이트, 중고 명품 리셀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대기 줄'이 하나의 상품으로 거래되는 기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새벽 5시부터 대기 가능", "3시간 대기 5만 원" 등 구체적인 조건을 내건 아르바이트 모집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명품 소비가 과시적 소비를 넘어 투자와 재테크 수단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격이 오를수록 희소성이 높아져 되팔았을 때 더 큰 이익을 남길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오픈런'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명품업계는 환율 상승과 금값 급등을 가격 인상의 이유로 내세우지만, 탄탄한 상위 소비층과 명품 재테크 트렌드를  '믿는 구석'으로 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 인상은 단기적 잡음을 일으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브랜드 가치와 희소성 유지에 도움이 된다"며 오히려 짝퉁 논란과 듀프 소비가 명품의 인기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반딧불이와 영화가 만나는 특별한 무주산골영화제

무료로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무주등나무운동장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영화제는 실내상영관과 야외상영장 등 7개의 상영장에서 18개국에서 온 86편의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며, 6월 8일까지 진행된다. 특히 이번 영화제는 격식을 차릴 필요 없이 관객들이 자유롭게 영화를 보고, 중간에 나가도 되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된다.무주산골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된 작품은 1928년작 빅토르 쇠스트롬의 <바람>이다. 이 무성영화는 한 여성의 정서적 고립과 심리적인 고통을 자연과의 충돌을 통해 시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무성영화 시대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영화는 무주산골영화제를 대표하는 시작점이 될 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영화제에는 특별 프로그램도 다채롭게 마련되어 있다. 특히 ‘넥스트 액터’로 선정된 최현욱 배우와의 만남이 예정되어 있으며, 관객들은 현장에서 이 배우를 직접 만나고 그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더불어 올해 신설된 <넥스트 시네아스트 박세영>과 <디렉터즈 포커스 엄태화> 프로그램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새로운 감독들과 영화제작자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무주산골영화제 기간 동안에는 영화와 함께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인 ‘운문산반딧불이 신비탐사’도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관람객들에게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자연 환경에서 반딧불이의 빛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그리고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기후변화에 따른 반딧불이 출현 시기를 반영해 올해에는 총 12회에 걸쳐 운영된다. 지난해에는 무주 전역에서 31곳의 반딧불이 서식지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3곳에서는 100마리 이상의 반딧불이가 관찰되었다.무주산골영화제는 청정 자연 환경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독특한 매력으로 관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에는 영화제를 찾은 관객 수가 무주군의 전체 인구(2만3천여명)보다 1.5배 많은 3만5천여 명에 달했다. 이런 높은 방문객 수는 영화제가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올해 영화제는 8년간 지원받아 온 국비가 끊기면서 개최 기간이 이틀 축소돼 사흘간만 열리게 되었다. 하지만 축소된 일정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관객들이 영화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는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영화를 관람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자리로, 무주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또 다른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