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단 5일 준비하고 덤볐다 깨졌지만…UFC가 ‘이 선수’에게 다시 기회 준 진짜 이유

 ‘코리안 좀비’ 정찬성 은퇴 이후 1년 넘게 명맥이 끊긴 UFC 랭커의 자리에 ‘코리안 타이거’ 박현성이 재도전한다. 박현성은 오는 19일 캐나다 밴쿠버 로저스 아레나에서 열리는 UFC 파이트 나이트에서 플라이급 랭킹 14위의 베테랑 브루노 실바와 운명의 한 판을 벌인다. 이번 대결은 박현성에게 단순한 1승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만약 실바를 꺾는다면, 그의 랭킹을 그대로 흡수하며 한국인 파이터로는 정찬성 이후 처음으로 UFC 공식 랭킹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한국 MMA의 자존심이 걸린 이 경기에서 박현성이 과연 새로운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을지 팬들의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박현성은 이번 기회를 얻기까지 우여곡절을 겪었다. ‘로드 투 UFC’ 시즌 1 우승자 자격으로 옥타곤에 입성한 그는 데뷔전과 두 번째 경기에서 연달아 피니시 승리를 거두며 탄탄대로를 달리는 듯했다. 하지만 예상보다 빨리 찾아온 기회는 동시에 시련이 되었다. 지난 8월, 랭킹 5위의 강자 타이라 타츠로와의 경기가 불과 5일을 앞두고 급하게 성사된 것이다. 준비 시간이 턱없이 부족했음에도 패기 있게 도전을 받아들였지만, 결과는 2라운드 서브미션 패배. MMA 통산 10승 무패를 달리던 그에게 찾아온 생애 첫 패배의 아픔이었다. 그러나 그의 투지를 높이 산 UFC 측은 패자에게 이례적으로 ‘소원권’을 부여했고, 박현성은 약 두 달 만에 실바라는 또 다른 랭커와 싸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다시 한번 거머쥐었다.

 


이번 대결은 전형적인 ‘신성 대 베테랑’의 구도로 압축된다. 도전자 박현성은 타격과 그래플링을 가리지 않는 전천후 파이터로, 10번의 승리 중 무려 9번을 KO나 서브미션으로 끝냈을 만큼 결정력이 뛰어나다. 스스로도 상대 실바에 대해 “한 방 결정력만 조심하면 충분히 할 만한 경기”라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반면 랭킹을 지켜야 하는 실바는 UFC에서만 4승 4패 1무효를 기록 중인 백전노장이다. 비록 최근 2연패의 부진에 빠져있고, 만 35세라는 나이가 경량급에서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UFC에서 거둔 4승 전부를 피니시로 장식했을 만큼 언제든 상대를 끝낼 수 있는 화력을 지니고 있다.

 

결국 이번 승부는 젊음과 패기로 무장한 박현성이 노련한 베테랑의 벽을 넘어설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박현성은 타이라전 패배의 아픔을 딛고 한 단계 더 성장했음을 증명해야 하며, 실바는 2연패의 사슬을 끊고 랭커의 자존심을 지켜야만 한다. 한 명은 폭발적인 기세의 신예이고, 다른 한 명은 모든 것을 쏟아부어야 하는 벼랑 끝 승부다. 과연 박현성이 한국 MMA의 숙원이었던 랭킹 진입에 성공하며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알릴 것인지, 아니면 베테랑의 관록이 신예의 도전을 저지할 것인지, 그 결과에 전 세계 격투기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내년 한국인 여행지 1위, '도쿄·오사카' 아니었다…476% 폭증한 '이곳'의 정체는?

유지하겠다는 응답(44%)을 넘어, 올해보다 더 자주, 더 많이 떠나겠다는 적극적인 여행객도 36%에 달했다. 주목할 점은 예산 계획의 변화다. 무조건 저렴한 곳만 찾는 '가성비 여행'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10명 중 7명 이상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돈을 여행에 쓸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항공권과 숙박에 더 과감히 투자하겠다는 응답자도 31%나 되었다. 이는 여행의 '양'뿐만 아니라 '질'을 높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그렇다면 이들이 선택한 여행지는 어디일까? 놀랍게도 정답은 도쿄나 파리 같은 대도시가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시선은 이제 덜 알려졌지만 특별한 매력을 간직한 일본의 소도시로 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아름다운 단풍으로 유명한 '아사히카와'의 검색량은 전년 대비 무려 476%나 폭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오키나와의 숨은 보석'이라 불리는 '미야코지마' 역시 247% 상승하며 그 뒤를 이었다.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다. 중국의 '충칭'(245%), 아프리카의 섬나라 모리셔스의 '포트루이스'(148%), 이탈리아 남부의 '바리'(87%) 등 기존의 인기 여행지 공식을 벗어난 이색적인 장소들이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남들이 다 가는 곳을 따라가는 여행이 아닌, 나만의 취향과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맞춤형 여행'이 대세가 되었음을 의미한다.여행의 목적 또한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여행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에서 인증샷을 남기는 행위를 넘어섰다. 새로운 트렌드의 선두에는 '마트어택'이 있다. 비싼 맛집 대신 현지 슈퍼마켓을 공략해 그 나라의 진짜 식문화를 경험하려는 흐름으로, 한국인 여행객의 절반 이상이 이를 즐기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MZ세대 사이에서는 '여·만·추(여행에서의 만남을 추구)'가 새로운 코드로 떠올랐다. 여행지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로맨틱한 인연을 기대하는 이들이 10명 중 4명에 달할 정도.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가거나 현지 서점을 탐방하는 '책스케이프' 역시 큰 인기다. 이미 한국인 응답자의 63%가 책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을 떠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 습득 방식의 변화가 있다. 과거 여행 책자나 블로그가 하던 역할은 이제 '유튜브'가 대신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61%가 유튜브를 통해 여행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으며, 특히 Z세대에게는 유튜브(70%)와 인스타그램(56%)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결국 2026년의 여행은 정해진 코스를 따르는 단체 관광이 아닌, 유튜브에서 발견한 이색적인 숙소(아부다비)나 현지 식재료(이탈리아 바리) 등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출발하는 '나만의 여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