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슈

'귀멸의 칼날' 다음은 '체인소 맨'…日 서브컬처, 주류 시장 완벽 장악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국내 대작들을 연이어 제치고 박스오피스 정상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개봉 첫 주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없다'와 추석 연휴 기대작이었던 '보스'에 밀려 3위까지 순위가 하락했으나, 작품을 본 관객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입소문이 퍼지며 N차 관람 열풍을 일으켰다. 이러한 역주행 흥행에 힘입어 개봉 3주 차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으며, 12일까지 누적 관객 183만 명을 동원하며 장기 흥행 체제에 돌입했다. 이는 500만 관객을 돌파한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흥행 계보를 이으며, 일본 애니메이션의 막강한 저력을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로 기록됐다.

 

영화의 폭발적인 인기는 스크린을 넘어 음원 차트까지 점령했다. J팝 스타 요네즈 켄시가 부른 주제가 '아이리스 아웃(IRIS OUT)'은 국내 최대 음원 플랫폼 멜론 '톱 100' 차트에서 4위까지 오르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뒀다. 이는 2022년 이마세의 '나이트 댄서'가 세운 J팝 최고 기록(17위)을 가뿐히 경신한 것으로, 막강한 팬덤을 지닌 K팝 아이돌 그룹들 사이에서 거둔 성과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는다. 또한, 유튜브 뮤직 한국 인기곡 '톱 100' 차트에서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곡들을 모두 제치고 1위를 차지하며, '체인소 맨'과 주제가를 향한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증명했다.

 


'아이리스 아웃'의 성공은 완성도 높은 곡 자체의 매력과 아티스트의 높은 인지도가 시너지를 낸 결과로 분석된다. '레몬'으로 국내에도 두터운 팬층을 보유한 요네즈 켄시는 이번 곡에서 힙합, 록, 팝 등 다양한 장르를 2분 30초라는 짧은 시간 안에 녹여냈으며, 극 중 인물 '레제'의 목소리 '붐(BOOM)'을 효과적으로 삽입해 원작 팬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특히 미야자키 하야오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등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OST에 참여하며 쌓아온 그의 음악적 역량이 이번 '체인소 맨'을 통해 다시 한번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체인소 맨' 신드롬은 단순히 한 작품의 흥행을 넘어, 일본 대중문화가 더 이상 소수의 하위문화가 아닌 주류 문화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임희윤 대중음악평론가는 '아이리스 아웃'의 인기 요인으로 "귀에 쏙쏙 박히는 다이내믹한 멜로디 전개가 도파민을 샘솟게 한다"고 분석하며, "애니메이션과 J팝이 서브컬처에서 주류 가까이로 올라섰다"고 진단했다. 한때 특정 마니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일본 애니메이션과 J팝이 이제는 영화관과 음원 차트의 판도를 뒤흔드는 핵심 콘텐츠로 부상한 것이다.

 

내년 한국인 여행지 1위, '도쿄·오사카' 아니었다…476% 폭증한 '이곳'의 정체는?

유지하겠다는 응답(44%)을 넘어, 올해보다 더 자주, 더 많이 떠나겠다는 적극적인 여행객도 36%에 달했다. 주목할 점은 예산 계획의 변화다. 무조건 저렴한 곳만 찾는 '가성비 여행'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10명 중 7명 이상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돈을 여행에 쓸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항공권과 숙박에 더 과감히 투자하겠다는 응답자도 31%나 되었다. 이는 여행의 '양'뿐만 아니라 '질'을 높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그렇다면 이들이 선택한 여행지는 어디일까? 놀랍게도 정답은 도쿄나 파리 같은 대도시가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시선은 이제 덜 알려졌지만 특별한 매력을 간직한 일본의 소도시로 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아름다운 단풍으로 유명한 '아사히카와'의 검색량은 전년 대비 무려 476%나 폭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오키나와의 숨은 보석'이라 불리는 '미야코지마' 역시 247% 상승하며 그 뒤를 이었다.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다. 중국의 '충칭'(245%), 아프리카의 섬나라 모리셔스의 '포트루이스'(148%), 이탈리아 남부의 '바리'(87%) 등 기존의 인기 여행지 공식을 벗어난 이색적인 장소들이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남들이 다 가는 곳을 따라가는 여행이 아닌, 나만의 취향과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맞춤형 여행'이 대세가 되었음을 의미한다.여행의 목적 또한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여행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에서 인증샷을 남기는 행위를 넘어섰다. 새로운 트렌드의 선두에는 '마트어택'이 있다. 비싼 맛집 대신 현지 슈퍼마켓을 공략해 그 나라의 진짜 식문화를 경험하려는 흐름으로, 한국인 여행객의 절반 이상이 이를 즐기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MZ세대 사이에서는 '여·만·추(여행에서의 만남을 추구)'가 새로운 코드로 떠올랐다. 여행지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로맨틱한 인연을 기대하는 이들이 10명 중 4명에 달할 정도.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가거나 현지 서점을 탐방하는 '책스케이프' 역시 큰 인기다. 이미 한국인 응답자의 63%가 책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을 떠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 습득 방식의 변화가 있다. 과거 여행 책자나 블로그가 하던 역할은 이제 '유튜브'가 대신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61%가 유튜브를 통해 여행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으며, 특히 Z세대에게는 유튜브(70%)와 인스타그램(56%)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결국 2026년의 여행은 정해진 코스를 따르는 단체 관광이 아닌, 유튜브에서 발견한 이색적인 숙소(아부다비)나 현지 식재료(이탈리아 바리) 등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출발하는 '나만의 여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