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큐브
당신의 미식 지도, 아직도 '불고기'에 멈춰있나요?…일상으로 떠나는 K-푸드 여행

이러한 변화는 실제 소비 데이터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한국관광공사가 신용카드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 성장률이 가장 가파르게 치솟은 메뉴는 아이스크림(35.0%), 편의점 음식(34.0%), 와플·크로플(25.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인 한식당이 아닌, 한국인의 일상과 가장 밀접한 공간들이 새로운 관광 명소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편의점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약 1300만 건의 카드 결제를 기록하며 K-푸드 업종 전체를 통틀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더 이상 단순히 물건을 사는 장소가 아니라, 라면부터 각종 간식과 음료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K-푸드 편집숍'이자 필수 여행 코스로 인식되고 있는 셈이다.

햄버거, 빵, 커피처럼 전 세계 어디서나 맛볼 수 있는 메뉴들이 한국에서 유독 인기를 끄는 현상도 주목할 만하다. 그 비밀은 바로 '한국식 변주'에 있다. 햄버거 결제 상위 10개 브랜드 중 6개가 국내 프랜차이즈였으며, 글로벌 브랜드조차 한국에서만 맛볼 수 있는 한정판 메뉴나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토핑을 선보이며 외국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이는 한국인에게는 평범한 한 끼 식사인 국수, 만두, 감자탕 같은 메뉴가 외국인에게는 자국에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특별한 미식으로 받아들여지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실제로 국수·만두(55.2%)와 감자탕(44%)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폭발적인 소비 성장률을 기록하며 새로운 K-푸드의 강자로 떠올랐다.
결국 이 모든 현상의 중심에는 국경 없이 퍼져나가는 소셜미디어의 막강한 영향력이 자리 잡고 있다. 해외 SNS에서 '꿀떡 시리얼' 챌린지가 유행하며 30만 개 이상의 '좋아요'를 기록하자, 국내 기업이 실제 제품을 출시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는 떡과 한과에 대한 소비가 76.9%나 급증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처럼 한국인의 일상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외국인에게 새로운 경험과 영감을 제공하고, 이것이 다시 한국의 소비 트렌드에 영향을 미치는 선순환 구조가 관광업계의 새로운 공식으로 굳어지고 있다. 한국인의 평범한 오늘이 외국인에게는 가장 특별한 여행의 순간이 되는 시대가 활짝 열린 것이다.
- "무심코 먹은 '이 약' 때문에 온몸이 퉁퉁…알고 보니 해열진통제 부작용?
- 조선시대에 웨딩플래너가? 상상초월 K-창작극, 연말에 전부 쏟아진다
- 미쉐린 별, 사실은 돈으로 살 수 있었다…한국도 14억 '투자'
- 안세영 한 명에 中 배드민턴 발칵…'천위페이 빼고는 상대가 안 된다
- 매일 보던 종로·이태원이 이렇게 예뻤나? '여행 드로잉'으로 본 서울의 재발견
- 최민희의 ‘분노의 질주’, 언론 탄압 넘어 국회 사유화 논란까지
- 에일리, 결국 시험관 시술 결심…"내 몸 혹사시킨 탓" 눈물의 자책
- 33세이브 마무리 투수의 눈물…김서현, 영웅에서 역적이 되기까지
- 정오 전 딱 3가지! 틱톡 강타 '3x3 챌린지'로 건강 루틴 완성하기
- 이이경 루머 폭로, '장난→팬심→루머' 고백 후 재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