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결국 우리끼리 싸운다…한국 당구, 가장 행복하고도 가장 잔인한 대진표 받았다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열리고 있는 제77회 세계3쿠션선수권대회에서 한국 선수들의 기세가 그야말로 파죽지세다. 이번 대회에 출전한 5명의 국가대표 중 무려 4명이 본선 32강 무대를 밟게 되면서 세계 당구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디펜딩 챔피언'이자 한국 당구의 에이스인 조명우를 필두로, 베테랑 허정한과 김행직, 그리고 패기 넘치는 신예 이범열까지, 각기 다른 스타일의 선수들이 모두 예선을 통과하며 한국 당구의 저력을 유감없이 뽐내는 중이다. 특히 이번 성과는 단순히 운이 좋았던 것이 아니라, 각자의 자리에서 최고의 플레이를 펼친 결과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세계 최강자들이 총출동한 별들의 전쟁터에서 한국 선수들이 초반부터 판을 흔들며 강력한 우승 후보국의 입지를 다지고 있는 셈이다.

 

선수 개개인의 활약상을 뜯어보면 더욱 놀랍다. 베테랑 허정한은 예선 두 경기를 모두 승리로 장식하며 조 1위로 가뿐하게 본선행 티켓을 거머쥐었고, 세계선수권에 처음 출전한 이범열은 1승 1패의 성적으로 조 2위를 차지하며 당당히 32강에 이름을 올렸다. 첫 출전이라는 부담감을 이겨내고 세계적인 선수들과 대등한 경기를 펼쳤다는 점에서 그의 대담함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이번 예선 최고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김행직의 경기였다. 그는 벨기에의 '살아있는 전설' 프레데리크 쿠드롱을 상대로 단 19이닝 만에 40-25라는 압도적인 스코어를 만들어내며 극적으로 본선에 합류했다. 세계 최강자를 상대로 보여준 완벽한 경기력은 그가 왜 한국 당구의 핵심 선수인지를 증명하는 명장면이었다.

 


물론 한국 선수들의 앞길이 탄탄대로인 것만은 아니다. 이번 대회 본선 32강은 그야말로 '미리 보는 결승전'이라 불릴 만큼 역대급 라인업을 자랑한다. 최근 월드컵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나눠 가졌던 독일의 마틴 혼과 튀르키예의 타이푼 타슈데미르를 비롯해, '사대천왕'으로 불리는 딕 야스퍼스(네덜란드), 토브욘 블롬달(스웨덴)은 물론, 벨기에의 강자 에디 멕스, 이탈리아의 마르코 자네티, 베트남의 쩐뀌엣찌엔까지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세계 톱랭커들이 대거 생존해있다. 각국의 자존심을 건 강자들이 총출동한 만큼, 매 경기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명승부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선수들이 이 험난한 가시밭길을 뚫고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16일 오후 7시부터 50점제 녹다운 토너먼트로 진행되는 32강전에서 벌써부터 한국 선수들 간의 피할 수 없는 맞대결이 성사되었다는 것이다. '디펜딩 챔피언' 조명우와 '쿠드롱 킬러' 김행직이 16강으로 가는 길목에서 외나무다리 승부를 펼치게 된 것. 이 경기의 승패와 관계없이 한국은 최소 1명의 16강 진출자를 확보했지만, 동시에 강력한 우승 후보 두 명 중 한 명은 반드시 탈락해야 하는 잔인한 대진이기도 하다. 팬들로서는 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상황인 셈이다. 한편, 허정한은 미국 대표, 이범열은 베트남 대표 선수와 각각 16강 진출을 놓고 격돌할 예정이다. 이 모든 경기는 SOOP과 다양한 TV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어 안방에서도 선수들의 숨 막히는 플레이를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

 

연기대상부터 국제포럼까지…열흘간 진주를 뜨겁게 달군 '드라마의 모든 것'

회관과 남강둔치 일원에서 펼쳐진 이번 축제는 K-드라마를 사랑하는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했다. 현장에는 인기 드라마의 세트장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드라마스크립트 체험 포토존'부터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한눈에 훑어볼 수 있는 '드라마 히스토리 전시관'까지 다채로운 체험형 콘텐츠가 마련되어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올해 화제작들을 모티프로 한 연지성 작가의 미술품 전시와 밤을 수놓은 버스킹 공연, 드라마 OST 라이브 무대는 축제의 열기를 한층 더 뜨겁게 달궜다. 진주시 마스코트 '하모'는 행사장 곳곳을 누비며 어린이부터 해외 관광객까지 모두에게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이번 페스티벌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행사 둘째 날 열린 '1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였다. 한 해 동안 시청자들을 웃고 울게 했던 K-드라마의 주역들이 대거 참석해 진주의 밤을 화려하게 빛냈다. 공중파, 케이블, OTT를 망라한 총 92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시상식에서 영예의 대상은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의 안재욱에게 돌아갔다. 작품상은 '우리영화'가 차지했으며, 최우수연기상은 '귀궁'의 육성재와 '미지의 서울'의 박보영이 각각 남녀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현욱과 김지연 등도 우수연기상을 수상하며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특히 올해 시상식에서는 진주시 마스코트 '하모'가 직접 수상자들에게 트로피를 전달하는 이색적인 장면이 연출되어 배우들과 팬들에게 특별한 재미와 추억을 선물했다.시상식의 화려함 이면에는 K-드라마의 깊이와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 있는 시간도 마련되었다. 올해 '공로상'은 1964년 데뷔 이래 현재까지 왕성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배우 김용림에게 수여되었다. 그는 "팬 여러분이 있어 지금까지 열심히 할 수 있었다"며 "남은 여생도 노력하는 배우가 되겠다"는 뭉클한 소감을 밝혀 현장에 깊은 감동을 안겼다. 같은 날 열린 '드라마 스토리텔링(영상국제포럼)'에서는 국내외 작가, 연출가, 제작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드라마 제작 현장의 경험과 글로벌 유통 전략 등 산업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며 K-콘텐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열띤 논의를 펼쳤다.'2025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은 K-콘텐츠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브라질 상파울루 국제 문화교류단이 축제 현장을 직접 방문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진주는 K-콘텐츠 문화산업의 심장부 같은 도시"라며 "K-드라마의 세계적 성공은 아름답고 깨끗한 진주시가 지닌 문화적 토양 덕분"이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손성민 조직위원장의 말처럼, 18회째를 맞은 페스티벌은 한국 드라마의 현재와 미래를 나누는 뜻깊은 장으로서 진주 대표 축제의 입지를 굳혔으며, 앞으로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돌아올 것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