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영구결번 받고 웃던 김연경, 마이크 잡자마자 돌변… "이따위 시스템으론…"

 '배구 여제' 김연경이 화려했던 선수 생활에 공식적인 마침표를 찍는 바로 그날, 한국 여자배구의 미래를 향한 뼈아픈 고언을 쏟아냈다.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은 2025-2026 V-리그 개막전의 열기와 더불어 김연경의 공식 은퇴식을 보기 위해 모인 5,401명의 관중으로 가득 찼다. 흥국생명 구단은 한국 배구 역사상 최초로 그의 등번호 '10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하며 최고의 예우를 보냈다. 김연경은 "울컥했지만 눈물을 흘리진 않았다"며 "영구결번을 받아 굉장히 영광스럽다"는 소감을 밝혔지만, 그의 시선은 이미 코트 밖에서 마주한 한국 배구의 현실과 미래를 향해 있었다. 은퇴 후 흥국생명 어드바이저, FIVB 세미나 참석, 예능 프로그램 감독 등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며 그가 느낀 문제의식은 결코 가볍지 않았다.

 

김연경이 코트를 호령하던 시절, 한국 여자배구는 세계 무대의 당당한 일원이었다. 2012 런던 올림픽과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두 차례나 4강 신화를 일궈냈고, 세계 최강팀들과의 대결에서도 쉽게 물러서지 않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김연경을 필두로 한 황금세대가 동시에 코트를 떠나자, 대표팀의 경쟁력은 속절없이 무너졌다. 2023 항저우 아시안게임 4강 진출 실패와 국제배구연맹 발리볼네이션스리그(VNL) 강등이라는 초유의 사태는 그 충격적인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이에 대해 김연경은 "국제 무대 성적이 가장 중요한데, 지금은 장기적인 계획 없이 시스템이 계속 바뀌는 느낌"이라며 "이런 부분이 팬들을 화나게 만들고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하게 만든다"고 날카롭게 지적했다. 그는 3년 뒤 LA 올림픽은 물론, 12년 뒤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플랜 수립이 절실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국가대표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김연경이 제시한 구체적인 해법은 V-리그 자체의 체질 개선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는 "현재 V-리그의 연봉 구조상 선수들이 해외에 도전하기 어려운 시스템"이라는 현실을 먼저 짚었다. 과거 자신처럼 해외 리그에 진출해 기량을 끌어올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역으로 리그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즉, "V-리그 수준을 높여서 좋은 외국인 선수를 데려오자"는 것이다. 세계적인 기량을 갖춘 외국인 선수들이 V-리그에서 뛰게 되면, 국내 선수들은 그들과의 경쟁 및 훈련을 통해 자연스럽게 기량이 동반 상승할 것이고, 이는 곧 국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논리다. 이는 리그의 흥행과 실리,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제시됐다.

 

선수 육성 시스템에 대한 쓴소리도 거침없었다. 김연경은 현재 V-리그에 없는 '2군 시스템'의 부재를 강하게 비판했다. "선수가 없어서 2군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일축하며, "웜업 존에서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는 선수들만으로도 2군을 충분히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1군 엔트리를 소폭 줄이는 대신, 나머지 선수들이 2군 리그에서 꾸준히 실전 경험을 쌓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가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기존 1군 스태프 일부를 활용하면 충분히 운영 가능하다는 구체적인 방안까지 덧붙였다. 이는 단순히 벤치를 지키는 유망주들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외침이자, 한국 배구의 근간을 튼튼히 다져야 한다는 '배구 여제'의 마지막이자 가장 진심 어린 호소였다.

 

연기대상부터 국제포럼까지…열흘간 진주를 뜨겁게 달군 '드라마의 모든 것'

회관과 남강둔치 일원에서 펼쳐진 이번 축제는 K-드라마를 사랑하는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했다. 현장에는 인기 드라마의 세트장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드라마스크립트 체험 포토존'부터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한눈에 훑어볼 수 있는 '드라마 히스토리 전시관'까지 다채로운 체험형 콘텐츠가 마련되어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올해 화제작들을 모티프로 한 연지성 작가의 미술품 전시와 밤을 수놓은 버스킹 공연, 드라마 OST 라이브 무대는 축제의 열기를 한층 더 뜨겁게 달궜다. 진주시 마스코트 '하모'는 행사장 곳곳을 누비며 어린이부터 해외 관광객까지 모두에게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이번 페스티벌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행사 둘째 날 열린 '1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였다. 한 해 동안 시청자들을 웃고 울게 했던 K-드라마의 주역들이 대거 참석해 진주의 밤을 화려하게 빛냈다. 공중파, 케이블, OTT를 망라한 총 92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시상식에서 영예의 대상은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의 안재욱에게 돌아갔다. 작품상은 '우리영화'가 차지했으며, 최우수연기상은 '귀궁'의 육성재와 '미지의 서울'의 박보영이 각각 남녀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현욱과 김지연 등도 우수연기상을 수상하며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특히 올해 시상식에서는 진주시 마스코트 '하모'가 직접 수상자들에게 트로피를 전달하는 이색적인 장면이 연출되어 배우들과 팬들에게 특별한 재미와 추억을 선물했다.시상식의 화려함 이면에는 K-드라마의 깊이와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 있는 시간도 마련되었다. 올해 '공로상'은 1964년 데뷔 이래 현재까지 왕성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배우 김용림에게 수여되었다. 그는 "팬 여러분이 있어 지금까지 열심히 할 수 있었다"며 "남은 여생도 노력하는 배우가 되겠다"는 뭉클한 소감을 밝혀 현장에 깊은 감동을 안겼다. 같은 날 열린 '드라마 스토리텔링(영상국제포럼)'에서는 국내외 작가, 연출가, 제작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드라마 제작 현장의 경험과 글로벌 유통 전략 등 산업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며 K-콘텐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열띤 논의를 펼쳤다.'2025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은 K-콘텐츠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브라질 상파울루 국제 문화교류단이 축제 현장을 직접 방문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진주는 K-콘텐츠 문화산업의 심장부 같은 도시"라며 "K-드라마의 세계적 성공은 아름답고 깨끗한 진주시가 지닌 문화적 토양 덕분"이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손성민 조직위원장의 말처럼, 18회째를 맞은 페스티벌은 한국 드라마의 현재와 미래를 나누는 뜻깊은 장으로서 진주 대표 축제의 입지를 굳혔으며, 앞으로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돌아올 것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