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적진 향해 날아드는 '자폭 드론'부터 '스텔스 편대'까지…대한항공, 국산 무인기 '벌떼' 공개

 대한항공이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베일에 싸여 있던 신형 무인기 3종을 전격 공개하며 미래 전장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에 처음으로 실물 시제기가 공개된 '저피탐 무인편대기(LOWUS)'는 단연 행사의 하이라이트로 떠올랐다. 이 무인기는 유인 전투기와 함께 편대를 이뤄 작전을 수행하는 유무인 복합체계의 핵심 전력으로, 이미 시험 비행을 앞둔 단계까지 개발이 진행됐다. 스텔스 성능을 기반으로 적의 방공망을 뚫고 정찰, 교란, 타격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미래 공중전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미국 등 주요 방산 강국들이 사활을 걸고 개발 경쟁에 뛰어든 분야인 만큼, 대한항공의 이번 시제기 공개는 대한민국 국방 기술력의 현주소를 과시하고 K-방산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이번에 공개된 것은 저피탐 무인편대기뿐만이 아니다.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개발한 '중형 타격 무인기' 시제기 역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는 이미 양산 중인 소형 타격 무인기의 후속 모델로, 더 강력한 파괴력과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춘 채 내년까지 연구개발을 마칠 계획이다. 위험 지역에 가장 먼저 투입되어 아군의 눈과 귀가 되어줄 '소형 협동 무인기'의 실제 크기 모형도 함께 공개되며, 대한항공이 구축하고 있는 촘촘한 무인기 라인업을 엿보게 했다. 이 외에도 전략급 무인기인 중고도무인기(MUAV)부터 사단 정찰용, 수직이착륙형 무인기까지, 전장의 다양한 환경과 임무에 맞춰 투입할 수 있는 '풀 스펙트럼 설루션'을 과시하며 무인기 체계 개발 선도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각인시켰다.

 


단순히 새로운 기체를 선보이는 것을 넘어, 무인기 운용의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시도도 함께 공개됐다. 바로 무인기 플랫폼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임무 자율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원격 조종 방식에서 벗어나 무인기가 스스로 전장 상황을 판단하고 임무를 수행하는, 한 차원 높은 단계의 기술이다. 개발에 성공할 경우, 소수의 운용 인력으로 다수의 무인기를 동시에 통제하며 작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대한항공은 이를 위해 미국의 AI 기술 선도 기업인 안두릴 등과 활발히 교류하며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어, 머지않아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보던 '생각하는 무인기'의 등장을 예고했다.

 

대한항공의 야심은 무인기 개발에만 그치지 않는다. 50년 이상 축적해 온 군용기 정비·개조·업그레이드(MROU)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미 국방부가 추진 중인 '지역 거점 운영 유지 체계(RSF)'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적임자임을 내세우며 미군 군용기 정비 사업 수주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나아가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 신규 시장 진출 가능성까지 타진하며 K-방산의 영토를 전 세계로 확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국산 기술로 만든 최첨단 무인기들이 세계 무대에서 활약할 날이 머지않았음을 선포한 셈이다.

 

연기대상부터 국제포럼까지…열흘간 진주를 뜨겁게 달군 '드라마의 모든 것'

회관과 남강둔치 일원에서 펼쳐진 이번 축제는 K-드라마를 사랑하는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했다. 현장에는 인기 드라마의 세트장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드라마스크립트 체험 포토존'부터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한눈에 훑어볼 수 있는 '드라마 히스토리 전시관'까지 다채로운 체험형 콘텐츠가 마련되어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올해 화제작들을 모티프로 한 연지성 작가의 미술품 전시와 밤을 수놓은 버스킹 공연, 드라마 OST 라이브 무대는 축제의 열기를 한층 더 뜨겁게 달궜다. 진주시 마스코트 '하모'는 행사장 곳곳을 누비며 어린이부터 해외 관광객까지 모두에게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이번 페스티벌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행사 둘째 날 열린 '1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였다. 한 해 동안 시청자들을 웃고 울게 했던 K-드라마의 주역들이 대거 참석해 진주의 밤을 화려하게 빛냈다. 공중파, 케이블, OTT를 망라한 총 92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시상식에서 영예의 대상은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의 안재욱에게 돌아갔다. 작품상은 '우리영화'가 차지했으며, 최우수연기상은 '귀궁'의 육성재와 '미지의 서울'의 박보영이 각각 남녀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현욱과 김지연 등도 우수연기상을 수상하며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특히 올해 시상식에서는 진주시 마스코트 '하모'가 직접 수상자들에게 트로피를 전달하는 이색적인 장면이 연출되어 배우들과 팬들에게 특별한 재미와 추억을 선물했다.시상식의 화려함 이면에는 K-드라마의 깊이와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 있는 시간도 마련되었다. 올해 '공로상'은 1964년 데뷔 이래 현재까지 왕성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배우 김용림에게 수여되었다. 그는 "팬 여러분이 있어 지금까지 열심히 할 수 있었다"며 "남은 여생도 노력하는 배우가 되겠다"는 뭉클한 소감을 밝혀 현장에 깊은 감동을 안겼다. 같은 날 열린 '드라마 스토리텔링(영상국제포럼)'에서는 국내외 작가, 연출가, 제작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드라마 제작 현장의 경험과 글로벌 유통 전략 등 산업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며 K-콘텐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열띤 논의를 펼쳤다.'2025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은 K-콘텐츠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브라질 상파울루 국제 문화교류단이 축제 현장을 직접 방문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진주는 K-콘텐츠 문화산업의 심장부 같은 도시"라며 "K-드라마의 세계적 성공은 아름답고 깨끗한 진주시가 지닌 문화적 토양 덕분"이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손성민 조직위원장의 말처럼, 18회째를 맞은 페스티벌은 한국 드라마의 현재와 미래를 나누는 뜻깊은 장으로서 진주 대표 축제의 입지를 굳혔으며, 앞으로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돌아올 것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