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큐브

정부도 인정한 '월드클래스', 지드래곤의 멈추지 않는 질주…결국 일냈다

 가수 지드래곤(G-DRAGON)이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정부로부터 공식 인정받으며, 그의 독보적인 위상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그는 지난 23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제16회 대한민국 대중문화 예술상 시상식’에서 대중문화예술 분야 최고 권위의 정부 포상인 옥관 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이 상은 공적 기간, 사회적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수여하며, 지드래곤은 최연소 수훈자라는 기록을 세우며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콘임을 입증했다. 이번 수훈은 그가 단순한 인기 가수를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세계에 알린 공로를 국가가 인정한 것이라는 점에서 깊은 의미를 지닌다.

 

수상대에 오른 지드래곤은 여섯 살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 자신의 꿈과 여정을 진솔하게 풀어내며 깊은 감동을 안겼다. 그는 "여섯 살 때 엄마 손에 이끌려 간 오디션장 이후 지금까지 같은 꿈을 꾸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10대엔 가수의 꿈을 이뤘고, 20대엔 표창을 받았으며, 30대엔 옥관 문화훈장까지 받게 되어 40대가 굉장히 기대된다"고 덧붙이며, 지난 세월에 대한 감회와 미래에 대한 기대를 동시에 드러냈다. 또한 "꿈을 꾸게 해준 선배님들이 내겐 매일 밤 빛나는 별이었다"며 선배 아티스트들에 대한 존경심을 표하는 한편, "내년이면 빅뱅이 20주년을 맞이하는데, 멤버들과 이 영광을 나누고 싶다"고 밝히며 그룹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을 과시해 팬들을 뭉클하게 만들었다.

 


그의 수상 소감은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고 감사를 표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지드래곤은 자신의 확고한 예술적 신념과 아티스트로서의 목표를 분명히 밝히며 청중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그는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게 음악의 힘"이라고 강조하며, "시대와 세대를 넘어 하나의 특정 인물로서 스타일을 확립한 아티스트로 기억되고 싶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특히 "평소 자기 전 ‘잘 자, 좋은 꿈 꿔’라는 말을 자주 한다. 좋은 꿈은 언젠가 현실이 되고, 또 새로운 꿈을 부른다"는 그의 마지막 말은, 꿈을 향해 나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강력한 동기 부여를 선사하며 오랫동안 회자되었다.

 

지드래곤의 영향력은 수상의 영예에만 머무르지 않고 현재진행형으로 전 세계에 뻗어나가고 있다. 2025년 경주 ‘APEC 정상회의’ 홍보대사로 위촉되어 국위선양에 앞장서는 동시에, 아시아를 넘어 미주와 유럽을 아우르는 월드투어 ‘G-DRAGON 2025 WORLD TOUR [Übermensch]’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서울을 시작으로 도쿄, 파리, 로스앤젤레스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의 무대를 연이어 매진시키고 앙코르 콘서트까지 개최하며, 그는 여전히 K팝의 정점에서 ‘월드클래스 아티스트’의 위엄을 과시하고 있다. 이번 문화훈장 수훈은 그의 빛나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더욱 기대되는 미래를 모두 아우르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K-디저트의 위엄!" 경주 황남빵, APEC 정상들 입맛 사로잡는다!

심사 과정을 거쳐 선정된 황남빵은 다가오는 APEC 주요 행사 및 공식 회의 석상에서 각국 정상과 고위 관계자들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선정은 단순한 디저트 제공을 넘어, 한국의 전통적인 맛과 문화를 세계 무대에 선보이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2025년 대한민국에서 개최될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경주의 상징적인 음식이 국제적인 행사의 공식 메뉴로 채택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깊다. 황남빵은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을 대표하는 'K-디저트'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다지고, 세계 각국의 정상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황남빵은 1939년 경주시 황남동에서 첫선을 보인 이래, 현재까지 3대에 걸쳐 그 전통과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국내에서 가장 유서 깊은 전통 팥빵 브랜드다. 8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변함없이 빵피와 팥소를 모두 장인이 직접 수작업으로 만드는 제조 방식을 고수하며, 기계화된 생산 방식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깊고 섬세한 맛을 유지해왔다. 이러한 장인정신과 끊임없는 품질 관리는 황남빵이 단순한 빵을 넘어 경주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담아내는 대표적인 특산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핵심 동력이다. 오랜 역사 속에서도 전통의 가치를 지키면서도 현대적인 미식 트렌드에도 부합하는 맛을 제공하며, 국내외 미식가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독보적인 역사와 장인 정신은 황남빵이 APEC 공식 디저트로 선정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025년 APEC 정상회의 준비기획단은 황남빵을 공식 협찬사로 선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받은 점은 황남빵이 경주 현지 농가에서 생산된 팥을 전량 수매하여 사용하는 '지역 상생' 구조를 확립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되었으며,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가치와도 부합한다. 또한, 황남빵이 경주를 대표하는 명물로서 지니는 높은 상징성 역시 중요한 선정 요인으로 작용했다. '당일 생산·판매' 원칙을 철저히 지키며 신선한 제품을 제공하는 황남빵은 경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필수 기념품'으로 손꼽힐 만큼 국내 시장에서 확고한 인지도를 구축하고 있다. 경주 본점 외에도 온라인몰을 통해 전국 각지로 판매망을 넓히며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황남빵 관계자는 이번 APEC 공식 협찬사 선정에 대해 "황남빵이 한국을 넘어 세계 무대에서 브랜드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더없이 소중한 기회"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전통적인 제조 방식을 고수하면서도 현대적인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으로, 세계 각국의 정상들과 시민들에게 한국의 맛과 문화를 알리는 K-디저트가 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이번 APEC 공식 디저트 선정은 황남빵에게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우수한 전통 식품들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선례가 될 것이다. 황남빵은 앞으로도 변함없는 맛과 품질로 한국의 미식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