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162km 광속구 어디로?…문동주, 어깨 통증 숨기고 던졌다 '충격 고백'

 최고 시속 162km의 광속구를 뿌리던 한화 이글스의 에이스 문동주가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급격한 구속 저하와 함께 1이닝 만에 강판된 이유가 뒤늦게 밝혀졌다. 대표팀 훈련에 합류한 그는 플레이오프 때부터 경미한 어깨 통증을 안고 투구해왔다고 고백했다. 문동주는 "정상 컨디션으로 시즌을 치르는 투수는 거의 없다"며 "계속 어깨에 불편함이 있었고, 잘 이겨냈는데 마지막 경기력이 좋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다행히 대표팀 메디컬 테스트 결과 심각한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포스트시즌 내내 그의 어깨는 정상이 아니었던 셈이다.

 

생애 첫 한국시리즈라는 거대한 무대가 주는 압박감과 긴장감은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통증을 잊게 했다. 문동주는 "한국시리즈라 너무 긴장해서 어깨가 어느 정도로 불편한지 몰랐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최고 구속이 150km까지 떨어지고, 평소 보기 힘들었던 140km대의 공이 전광판에 찍히는 것을 보며 몸 상태가 정상이 아님은 인지했지만, 극도의 긴장 상태가 통증 감각마저 무디게 만들었던 것이다. 이는 플레이오프에서 2경기 1승 1홀드, 6이닝 무실점 10탈삼진의 압도적인 투구로 시리즈 MVP를 차지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플레이오프 때도 경기가 어떻게 흘러갔는지 모를 정도로 긴장했고, 그때도 어깨는 불편했다"며 투혼으로 가을 무대를 버텨왔음을 시사했다.

 


첫 가을야구 경험은 그에게 육체적 한계와 함께 야구의 진정한 재미를 동시에 깨닫게 했다. 문동주는 "가을야구를 처음 해보니 매 경기 모든 걸 쏟아냈고, 체력이 정말 중요하다는 걸 깨닫게 됐다"며 포스트시즌의 무게감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동시에 "양 팀 팬들의 응원 데시벨 자체가 달랐다. 이렇게 재미있는 야구를 매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왜 사람들이 가을야구, 가을야구 하는지 피부로 와 닿았다"고 덧붙이며 벅찬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쓰라린 경험 속에서도 다음 시즌 더 높은 곳을 향한 강력한 동기부여를 얻은 것이다.

 

한국시리즈의 아쉬움은 이제 뒤로하고 문동주의 시선은 태극마크로 향한다. 류지현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에 합류한 그는 체코, 일본과의 평가전을 거쳐 내년 3월 열리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무대에 서고 싶은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태극마크는 모든 야구인들의 꿈"이라며 "상대 선수들 실력이 장난 아니다.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각오를 다졌다. 특히 "일본 선수들이 야구하는 걸 보면 정말 다르다. 왜 강팀이라고 하는지 알 수 있다"며 오는 15일과 16일 도쿄돔에서 펼쳐질 일본과의 맞대결에 대한 기대감과 의욕을 불태웠다.

 

내장산 갔다가 여기 안 들르면 '헛걸음'…단풍 감상 백미로 꼽히는 명소 3

를 것으로 보여, 전국 각지에서 가을의 절정을 만끽하려는 이들의 발걸음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장산은 매년 가을마다 깊고 그윽한 빛깔의 단풍으로 독보적인 풍광을 자랑하며, 수려한 자연경관과 오랜 역사, 문화적 가치가 어우러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을 여행지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왔다.내장산 단풍이 이토록 특별한 찬사를 받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바로 이곳이 국내에 자생하는 단풍나무 11종이 함께 서식하는 유일무이한 '단풍나무의 보고(寶庫)'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풍나무는 잎의 갈래 수나 모양으로 종류를 구분하는데, 내장산에는 잎이 9~10갈래로 갈라지는 당단풍부터 좁은단풍, 털참단풍, 복자기, 그리고 수액으로 유명한 고로쇠나무와 왕고로쇠, 신나무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단풍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나무들이 저마다의 붉은색을 뽐내며 빚어내는 색의 향연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흉내 낼 수 없는 깊이와 화려함을 자아낸다.특히 내장산 단풍은 잎의 크기가 아기 손처럼 작고 고우며, 유독 선명하고 진한 붉은빛을 띠어 '애기단풍'이라는 사랑스러운 별칭으로 불린다. 여리고 섬세한 잎들이 빽빽하게 모여 만들어내는 짙은 붉은색의 물결은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내며, 내장산 단풍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게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작은 잎들이 모여 산 전체를 거대한 붉은 융단처럼 뒤덮는 장관은 오직 내장산에서만 허락된 가을의 선물이다.이 황홀한 단풍을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명소들도 곳곳에 자리한다. 그중에서도 백미는 단연 일주문에서 내장사로 이어지는 108그루의 단풍나무가 만들어내는 '단풍 터널'이다.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붉게 타오르는 단풍잎 아래를 걷다 보면 마치 다른 세상에 들어선 듯한 황홀경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정자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날아갔다는 전설이 깃든 우화정은 연못에 비친 단풍과 어우러져 한 폭의 수채화 같은 풍경을 연출하며, 케이블카를 타고 정상 부근에 오르면 발아래로 펼쳐지는 산 전체의 붉은 파노라마를 조망하는 특별한 경험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