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단순 피부병인 줄 알았는데… 방치하면 '심장'까지 망가뜨리는 '이 질환'
찬 바람과 함께 찾아온 건조한 겨울은 건선 환자들에게 유독 가혹한 계절이다. 단순히 피부가 거칠어지는 문제로 가볍게 여길 수 있지만, 건선은 단순 피부 질환이 아닌 면역계 이상으로 발생하는 만성 전신 염증 질환이다. 피부의 각질 세포가 정상 속도보다 몇 배나 빠르게 증식하며 붉은 반점과 하얀 각질을 만들어내는 이 질환은, 방치할 경우 관절을 변형시키는 건선성 관절염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치명적인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2024년 기준 국내 환자 수만 15만 6천여 명에 달하며, 이들은 피부 병변뿐만 아니라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까지 안고 살아가며 삶의 질에 큰 타격을 받고 있다.건선은 종종 아토피피부염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발병 양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주로 영유아기에 시작되어 팔다리가 접히는 부위에 습진 형태로 나타나는 아토피와 달리, 건선은 20대 성인기에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두피나 팔꿈치, 무릎처럼 외부 자극에 쉽게 노출되는 돌출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환자의 절반 이상이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등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겨울철에는 낮은 습도와 부족한 일조량으로 인해 피부 장벽이 약해지고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다.

고려대 안암병원 피부과 김대현 교수는 겨울철 건선 관리의 핵심으로 '보습'과 '피부 자극 최소화'를 꼽았다. 건조해진 피부는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이때 무심코 긁는 행위는 피부에 미세한 상처를 내어 새로운 건선 병변을 유발하거나 기존 증상을 악화시키는 '쾨브너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소보다 보습제를 훨씬 더 자주, 듬뿍 발라 피부 장벽을 튼튼하게 유지하고, 꽉 끼는 옷이나 거친 재질의 의류를 피해 물리적인 자극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선은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렵고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활 습관 전반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특히 과도한 음주와 과식, 극심한 스트레스는 체내 염증 반응을 촉진하여 건선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꼽힌다. 따라서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고 충분한 휴식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 역시 면역 체계를 교란시켜 건선 증상을 급격히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겨울철 개인위생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서 감염 질환을 예방해야 한다.
- 결국 따로 만났다…뉴진스 민지·다니엘, 어도어와 '복귀 조건' 첫 대면
- 30년 전 자판기 털던 그 동전?…日 상점가에 다시 나타난 500원의 공포
- 中 매체도 울었다…'고향 친구' 이은혜의 14년 묵은 한, 마침내 풀리다
- ESG 경영, 말로만 하는 게 아니었다… 현대건설, 3년 연속 최고 등급의 위엄
- 정상들 악수할 때, 아부다비에선 170억 잭팟…韓 중소기업들 일냈다
- ‘1년짜리 지구전’ 각오한 日…“기름 부을까 두렵다” 대화도 못 거는 속사정
- 송혜교, 바쁜 촬영 중 급히 달려온 청룡…트로피보다 빛난 그녀의 열정
- 10년 열애 신민아♥김우빈, 드디어 '법적 부부' 도장 찍는다!
- 300만 원짜리 숙박에서 5연속 사망! 디즈니월드, 안전 비상
- 12월 3일 숨죽이는 국힘… '불법계엄 1년' 굴레 벗을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