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큐브

'슈퍼맘' 사유리의 의외의 약점…"오픈 클래스? 영어라 못 껴요" 솔직 고백

 방송인 사유리가 아들 젠의 5살 생일을 맞아 특별한 홈파티를 열고, 이와 함께 최근 젠이 외국인 학교에 입학하며 겪게 된 예상치 못한 고충을 털어놓았다. 지난 18일 사유리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젠의 생일 파티 현장을 공개했다. 그는 "요즘 생일 파티를 대부분 키즈카페에서 하지만, 집에서 해주고 싶은 마음이 컸다"며 아들을 위해 직접 파티를 준비하는 설렘을 감추지 못했다. 이는 젠을 위해 이처럼 큰 규모의 파티를 열어주는 첫 경험이었기에 그 의미가 더욱 남달랐다. 사유리는 제작진과 함께 풍선을 불고 집안을 장식하며 젠의 친구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고, 곧이어 도착한 아이들과 엄마들로 집안은 활기로 가득 찼다.

 

파티는 성공적이었지만, 대화는 자연스럽게 아이들의 교육 환경 변화로 이어졌다. 젠이 최근 어린이집을 졸업하고 외국인 학교에 입학했다는 소식을 전한 사유리는 다른 엄마들에게 "어린이집이 끝나고 유치원으로 가게 되니 이전 엄마들과 자주 만나기 어렵지 않냐"며 궁금증을 드러냈다. 이에 다른 엄마들은 대부분 동네가 달라지면서 새로운 유치원의 학부모들과는 교류가 쉽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사유리에게도 해당하는 이야기였다. 그는 젠이 다니는 외국인 학교 학부모들과는 "전혀 교류가 없다"고 잘라 말하며, 심지어 "연락처 자체를 모른다"고 고백해 놀라움을 안겼다.

 


사유리가 학부모들과의 교류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언어의 장벽'이었다. 그는 학교에서 주최하는 '오픈 클래스' 같은 행사가 있긴 하지만, 모든 소통이 영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대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학부모들 역시 대부분 외국인이라, 영어가 유창하지 않은 사유리로서는 섣불리 다가가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는 "그냥 리액션만 열심히 하고 있다"고 멋쩍게 웃으며, 속으로는 "제발 아무도 나에게 말을 걸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외국인 학교에 아들을 보낸다는 사실만으로 주변에서는 당연히 그가 영어를 잘할 것이라 여기는 시선이 부담스럽다며 "기가 죽었다"고 표현해 웃음을 자아냈다.

 

이러한 사유리의 고백은 2020년 정자 기증을 통해 아들 젠을 품에 안고 '자발적 비혼모'의 길을 걷고 있는 그의 육아 여정에 또 다른 현실적인 과제가 주어졌음을 보여준다. 당당하고 소신 있는 모습으로 많은 이들에게 용기를 주었던 그였지만, 아들의 교육 환경 속에서 마주한 영어 울렁증 앞에서는 한없이 작아지는 평범한 엄마의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방송에서는 늘 유쾌하고 거침없는 입담을 자랑하는 그가 아들의 학교에서는 말 한마디 제대로 붙이지 못하고 고군분투하는 모습은, 세상 모든 부모가 겪는 다양한 고민과 애환에 대한 깊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