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큐브

국대 레전드와 '프듀' 소녀의 만남…8살 차 극복한 이용대·윤채경 러브스토리

 그룹 에이프릴 출신 배우 윤채경과 '배드민턴 황제' 이용대가 8살의 나이 차이를 뛰어넘고 1년째 아름다운 사랑을 키워오고 있다. 두 사람은 주변 지인들에게 서로를 연인으로 스스럼없이 소개하는 등 진지한 관계로 발전했으며, 각자의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는 와중에도 서로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돌 그룹 멤버와 스포츠 레전드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대중의 이목이 쏠리는 가운데, 과거 윤채경이 이용대를 향해 수줍은 팬심을 고백했던 사실이 재조명되면서 이들의 인연이 더욱 특별하게 다가오고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이 더욱 영화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9년이라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과거의 한 인터뷰 때문이다. 윤채경은 2016년 프로젝트 걸그룹 아이비아이(I.B.I)로 활동할 당시, 리우올림픽을 앞두고 진행된 인터뷰에서 가장 관심 있는 종목으로 배드민턴을 꼽았다. 그는 "이용대 선수가 라켓을 들고 서브하는 모습은 정말 멋있다"고 언급하며 '성덕(성공한 덕후)'의 면모를 드러낸 바 있다. 당시에는 그저 수많은 팬 중 한 명의 순수한 응원이었지만, 9년의 세월이 흘러 동경의 대상이었던 스포츠 스타와 실제 연인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한 편의 드라마 같은 러브 스토리를 완성했다.

 


이용대는 한 차례 이혼의 아픔을 겪은 '싱글 대디'이기에 이번 만남에 더욱 진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2017년 배우 변수미와 결혼했으나 약 1년 만에 파경을 맞았고, 이후 홀로 딸을 양육해왔다. 이처럼 인생의 한 페이지를 넘긴 만큼, 윤채경과의 관계를 신중하게 이어가며 서로에게 깊은 신뢰를 쌓아가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서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전설로 남은 그는 현재 플레잉 코치로 활약하는 동시에, '미운 우리 새끼' 등 다양한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며 변함없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윤채경 역시 파란만장한 연예계 활동을 거쳐 배우로서 제2의 인생을 열어가고 있다. 2012년 데뷔 후 '카라 프로젝트', '프로듀스 101' 등 굵직한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통해 얼굴을 알렸고, 프로젝트 그룹 아이비아이와 C.I.V.A를 거쳐 마침내 에이프릴 멤버로 재데뷔하며 '예쁜 게 죄' 등의 히트곡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2022년 팀 해체 이후에는 배우로 전향하여 '고려거란전쟁' 등에 출연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히는 등, 끊임없는 도전으로 자신의 길을 개척해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이용대와 닮은 점이 많다는 평이다.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