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큐브

송혜교, 바쁜 촬영 중 급히 달려온 청룡…트로피보다 빛난 그녀의 열정

 배우 송혜교가 청룡영화상 시상식에서 변함없는 미모와 우아한 자태로 등장해 스포트라이트를 한 몸에 받았다. 그녀는 최근 자신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시상식 생방송 도중 카메라에 포착된 자신의 모습을 담은 짧은 영상을 공유하며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영상 속 송혜교는 어깨에 닿는 사랑스러운 단발머리 스타일로, 한층 더 어려 보이는 동안 미모를 과시했다. 특히 무심한 듯 있다가도 카메라가 자신을 비추는 순간, 순간적으로 분위기를 압도하며 반짝이는 눈빛과 함께 프로페셔널한 미소를 짓는 모습은 그녀가 왜 최고의 스타인지를 다시 한번 증명해 보였다.

 

이날 송혜교는 눈부신 드레스 자태가 담긴 사진도 함께 공개하며, 시상식의 꽃이라 불리는 레드카펫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아쉬움을 재치 있게 표현했다. 그녀는 "촬영 중 급히 와서 레카(레드카펫) 못 선 게 아쉬우니까"라는 글을 덧붙여, 현재 촬영 중인 차기작 스케줄로 인해 부득이하게 레드카펫에 서지 못했음을 직접 설명했다. 바쁜 촬영 스케줄을 소화하던 중 시상식을 위해 한달음에 달려온 그녀의 열정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특히 그녀가 선택한 복숭아빛 드레스는 그녀의 환한 피부 톤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마치 여신과 같은 우아하고 고혹적인 분위기를 자아내 현장의 모든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이번 청룡영화상에서 송혜교는 영화 '검은수녀들'을 통해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며 그 연기력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어쩔수가없다'의 손예진, '하이파이브'의 이재인, '파과'의 이혜영, '악마가 이사왔다'의 임윤아 등 쟁쟁한 배우들과 함께 후보에 이름을 올리며 치열한 경합을 예고했다. 비록 수상의 영광은 '어쩔수가없다'의 손예진에게 돌아갔지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여배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후보에 오른 것만으로도 그녀의 존재감을 입증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시상식 내내 동료 배우들과 환하게 인사를 나누고, 수상자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는 성숙한 모습은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비록 청룡의 트로피는 품에 안지 못했지만, 송혜교는 쉴 틈 없이 차기작 촬영에 매진하며 배우로서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녀는 현재 넷플릭스 시리즈 '천천히 강렬하게'(가제) 촬영에 한창이다. 이 작품은 야만과 폭력이 난무했던 196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한국 연예계를 배경으로, 가진 것 없지만 빛나는 성공을 향해 온몸을 던졌던 이들의 치열한 성장 스토리를 담아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작품에서는 공유, 김설현, 차승원, 이하늬 등 이름만 들어도 기대를 모으는 대한민국 최고의 배우들과 호흡을 맞출 것으로 알려져, 벌써부터 역대급 작품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 이름, 사실 튀르키예의 이 포도밭에서 시작됐다

를 확립한 니케아 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과거 미국에서 사목할 당시 가톨릭교회가 원주민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한 사죄의 뜻을 밝히기도 했던 교황이 ‘종교 간 대화’를 주제로 어떤 화합의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 순방은 기독교 역사의 뿌리가 서린 튀르키예와 역대 교황들이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한국의 성지들을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튀르키예는 이슬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초기 역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땅이다. 그 중심에는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시절 1100년간 기독교 세계의 심장이었던 이스탄불의 성소피아 성당이 있다. 비록 지금은 모스크로 사용되지만, 천장의 성모 마리아 모자이크와 복원 중인 예수의 벽화는 종교를 넘어선 공존의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이스탄불을 벗어나면 사도 요한이 성모 마리아를 모시고 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에페수스가 순례자들을 맞이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이곳에는 성모 마리아가 살았던 집터와 그의 무덤 위에 세워진 교회가 남아있어 성경 속 이야기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튀르키예 서부 지역은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소아시아 7대 교회’의 흔적을 따라가는 성지 순례의 핵심 코스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쌍벽을 이뤘던 도서관이 있던 페르가몬(베르가마), 염색업으로 부유했던 산업 도시 두아디라(아키사르), 체육관 유적이 인상적인 사르디스, 그리고 포도 재배지로 유명해 훗날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의 어원이 된 빌라델비아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특색을 간직한 채 수천 년의 시간을 증언하고 있다. 특히 파묵칼레의 석회붕과 온천으로 유명한 히에라폴리스 인근에 자리한 라오디게아 교회는 아름다운 자연과 성지가 어우러진 경이로운 풍경을 선사하며, 박해를 피해 신자들이 숨어 지냈던 아야지니 석굴 성당 등은 험난했던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되새기게 한다.역대 교황들의 방문으로 한국 역시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의미 깊은 성지로 자리매김했다.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서울 혜화동 가톨릭대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여의도에서 103위 시성식을 주재하며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을 높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전임 교황이 광화문 시복식과 함께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당진 솔뫼성지를 찾았다. ‘한국의 베들레헴’이라 불리는 솔뫼성지는 4대에 걸친 순교자의 흔적이 서려 있으며, 소나무 숲 사이로 난 ‘십자가의 길’은 순례자들에게 깊은 묵상의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많은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긴 다블뤼 주교의 거처였던 신리성지는 드넓은 들판에 우뚝 솟아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내며 한국 천주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