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슈

정약용이 '현산'이라 부른 그곳, 200년 뒤 한 사진작가가 포착한 '검은 눈물'

 다큐멘터리 사진가 노순택이 한국 사회의 첨예한 갈등 현장을 벗어나 멀고 짙은 섬, 흑산도로 향했다. 서울 사직동 ‘공간풀숲’에서 열리는 그의 개인전 ‘흑산, 멀고 짙고’는 흑백 필름에 담아낸 신작 80여 점을 통해 섬의 깊은 서사를 펼쳐 보인다. 1801년 정약전이 유배되었던 비극의 땅이자, 동생 정약용이 그 참담함을 위로하고자 신비로운 검정을 뜻하는 ‘현산(玆山)’이라 부르고자 했던 바로 그곳. 작가는 푸르다 못해 검푸른 바다 때문에 이름 붙여진 이 섬의 외형적 검정(黑)을 넘어, 그 안에 깃든 다층적인 삶과 시간의 흔적을 자신만의 시선으로 재해석하며 1만 5천 자에 달하는 작업 노트와 함께 관객에게 제시한다.

 

전시의 중심에는 흑산도의 절경을 담은 ‘팔폭병풍’이 자리한다. 병풍처럼 길게 이어지면서도 각 폭이 독립된 장면으로 분절되는 이 작품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끝내 고립된 신안 바다 섬들의 숙명을 시각적으로 구현해낸다. 사진 속 흑산의 바다는 칠흑 같은 어둠과 거친 물살로 보는 이를 압도하지만, 그 모진 파도를 묵묵히 견뎌내는 검은 바위와 그 위에서 유유자적 노니는 새와 산양의 모습은 강인한 생명력과 경외감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작가는 망망대해 한가운데 선 섬의 풍광에서 시작해 그곳에 깃든 동물들의 삶으로 시선을 확장하며, 인간의 시선 너머에 존재하는 섬의 원초적 풍경을 그려낸다.

 


작가의 렌즈는 이내 섬의 진짜 주인인 사람들에게로 향한다. 흑산도 진리마을에서 만난 이판덕 할머니는 아흔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굽은 허리를 이끌고 파래와 미역을 딴다. 작가는 오랜 노동으로 굳어버린 할머니의 등이 마치 바가지 안의 먹거리를 향해 올리는 ‘거룩한 기도’처럼 보였다고 기록했다. 그런가 하면 곤촌마을의 우럭 양식장에서 일하는 스리랑카 노동자 두싼 왈폴라의 고뇌도 담담하게 포착한다. 4년 10개월을 일하고 고국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흑산도를 찾았지만, 내년 1월이면 또다시 떠나야 하는 그의 막막한 현실은 이제 그를 대체할 노동자를 구해야 하는 섬의 현실과 고스란히 맞닿아 있다.

 

노순택은 ‘분단의 향기’, ‘비상국가’ 등의 작업을 통해 한국 사회의 이데올로기적 갈등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온 사진가다. 2014년 사진작가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은 그가 이번에는 흑산도라는 구체적인 공간과 그곳 사람들의 삶 속으로 깊숙이 들어갔다. 그의 카메라는 단순히 섬의 아름다운 풍경이나 고단한 삶을 연민의 시선으로 담는 데 그치지 않는다. 대신 한평생 물질을 해온 노인과 잠시 머물다 떠나야 하는 이방인 노동자의 사연을 병치하며, 연결과 고립, 토착과 이주, 자연과 문명이 교차하는 ‘오늘의 흑산도’가 품은 복잡하고도 생생한 질문들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 이름, 사실 튀르키예의 이 포도밭에서 시작됐다

를 확립한 니케아 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과거 미국에서 사목할 당시 가톨릭교회가 원주민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한 사죄의 뜻을 밝히기도 했던 교황이 ‘종교 간 대화’를 주제로 어떤 화합의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 순방은 기독교 역사의 뿌리가 서린 튀르키예와 역대 교황들이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한국의 성지들을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튀르키예는 이슬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초기 역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땅이다. 그 중심에는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시절 1100년간 기독교 세계의 심장이었던 이스탄불의 성소피아 성당이 있다. 비록 지금은 모스크로 사용되지만, 천장의 성모 마리아 모자이크와 복원 중인 예수의 벽화는 종교를 넘어선 공존의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이스탄불을 벗어나면 사도 요한이 성모 마리아를 모시고 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에페수스가 순례자들을 맞이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이곳에는 성모 마리아가 살았던 집터와 그의 무덤 위에 세워진 교회가 남아있어 성경 속 이야기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튀르키예 서부 지역은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소아시아 7대 교회’의 흔적을 따라가는 성지 순례의 핵심 코스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쌍벽을 이뤘던 도서관이 있던 페르가몬(베르가마), 염색업으로 부유했던 산업 도시 두아디라(아키사르), 체육관 유적이 인상적인 사르디스, 그리고 포도 재배지로 유명해 훗날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의 어원이 된 빌라델비아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특색을 간직한 채 수천 년의 시간을 증언하고 있다. 특히 파묵칼레의 석회붕과 온천으로 유명한 히에라폴리스 인근에 자리한 라오디게아 교회는 아름다운 자연과 성지가 어우러진 경이로운 풍경을 선사하며, 박해를 피해 신자들이 숨어 지냈던 아야지니 석굴 성당 등은 험난했던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되새기게 한다.역대 교황들의 방문으로 한국 역시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의미 깊은 성지로 자리매김했다.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서울 혜화동 가톨릭대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여의도에서 103위 시성식을 주재하며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을 높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전임 교황이 광화문 시복식과 함께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당진 솔뫼성지를 찾았다. ‘한국의 베들레헴’이라 불리는 솔뫼성지는 4대에 걸친 순교자의 흔적이 서려 있으며, 소나무 숲 사이로 난 ‘십자가의 길’은 순례자들에게 깊은 묵상의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많은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긴 다블뤼 주교의 거처였던 신리성지는 드넓은 들판에 우뚝 솟아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내며 한국 천주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