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中 매체도 울었다…'고향 친구' 이은혜의 14년 묵은 한, 마침내 풀리다

 중국에서 귀화한 탁구선수 이은혜가 14년 만에 국내 프로탁구 정상에 오르며 흘린 뜨거운 눈물이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지난 16일 광명시민체육관에서 열린 2025 두나무 한국프로탁구리그(KTTL) 파이널스 여자 단식 결승전, 이은혜는 상대 양하은을 게임스코어 3-0으로 완파하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마지막 포인트가 결정되는 순간, 그는 코트에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싼 채 한동안 흐느꼈다. 2011년 한국 국적을 취득한 이후 무려 14년 만에 차지한 첫 개인 단식 타이틀이었기에 그 감격은 더욱 남달랐다. 앞서 열린 시리즈 1, 2에서 모두 16강 탈락의 고배를 마셨던 그였기에 이번 파이널스 우승은 그간의 마음고생을 한 번에 씻어내는 값진 결과물이었다.

 

이은혜의 탁구 인생은 1995년 중국 허베이성에서 시작되었다. 탁구 강국 중국에서도 손꼽히는 유망주였던 그는 더 큰 꿈을 펼치기 위해 2011년, 16살의 어린 나이에 중대 결심을 한다. 1988 서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양영자 당시 대한항공 감독의 눈에 띄어 한국행을 택하고 귀화 절차를 밟은 것이다. 세계 최강 중국의 높은 벽을 넘는 대신, 태극마크를 달고 올림픽에 출전하겠다는 새로운 목표를 품고 낯선 땅에서의 도전을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 탁구계에 첫발을 내디딘 그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장밋빛 미래가 아닌 험난한 가시밭길이었다.

 


기대와 달리 태극마크를 다는 과정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뛰어난 실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20대 중반이 되도록 국가대표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특히 2020 도쿄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의 탈락은 그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당시 선발전 3위를 차지하며 실력으로 단체전 멤버 자격을 증명했지만, '귀화 선수는 최대 2명까지만 출전할 수 있다'는 규정에 발목이 잡혔다. 이미 대표팀에 자리 잡고 있던 다른 중국 출신 귀화 선수 전지희, 최효주에 밀려 올림픽 무대를 눈앞에서 놓쳐야만 했다. 실력 외적인 이유로 꿈이 좌절된 아픔 속에서도 그는 포기하지 않고 묵묵히 라켓을 놓지 않았다.

 

기나긴 기다림과 설움의 시간은 2024년이 되어서야 끝이 났다. 마침내 그토록 염원하던 태극마크를 가슴에 단 이은혜는 파리 올림픽 단체전에서 신유빈, 전지희와 함께 값진 동메달을 합작하며 자신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중국의 수많은 정상급 선수들도 이루지 못한 올림픽 메달의 꿈을 이룬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올해, 14년 만의 국내 프로리그 정상 등극으로 화룡점정을 찍었다. 그의 우승 소식을 접한 중국 현지 매체조차 "이은혜가 짊어진 압박이 얼마나 컸을지 짐작할 수 있다. 그의 눈물은 한국에서 얼마나 고생했는지를 설명한다"며 그의 험난했던 여정에 깊은 공감을 표했다. 14년의 인고 끝에 흘린 그의 눈물은 단순한 기쁨을 넘어, 한 인간의 끈기와 집념이 만들어낸 감동의 서사 그 자체였다.

 

일본이 텅 비자 한국으로 '우르르'…中 관광객, 'NO 재팬' 반사 이익 제대로 터졌다

다. 양국 관계가 급격히 냉각되면서, 중국 내에서 일본을 여행 목적지로 고려하던 잠재적 관광객들이 발길을 돌리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심리적 위축을 넘어 실제 예약 데이터로 증명되고 있으며, 중국인 관광객의 빈자리는 일본 관광업계에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만들어낸 관광 시장의 공백 속에서, 한국이 예상치 못한 반사 이익을 얻으며 새로운 인기 목적지로 급부상하는 모양새다.중국 현지 언론 펑파이신문이 여행 플랫폼 'DAST'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은 구체적인 수치로 명확히 드러난다. 지난 18일을 기준으로 일본행 항공기의 좌석 점유율은 불과 일주일 전과 비교해 12.3%포인트나 급락했으며, 실제 탑승객 수 역시 10.8%포인트 감소하는 등 실질적인 수요 감소가 확인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미 예약된 항공권의 취소율이 13.4%에 달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계획된 여행마저 대거 취소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중국 내 반일 감정이 단순한 불매 운동을 넘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얼어붙은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커 일본 관광업계의 시름은 깊어질 전망이다.일본을 향하던 중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은 자연스럽게 대체 여행지로 향하고 있으며, 그중 가장 눈에 띄는 수혜지가 바로 한국이다. 중국의 또 다른 대형 여행 플랫폼 '취날'의 통계는 이러한 흐름을 명백히 보여준다. 지난 주말인 15일과 16일, 중국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해외 여행지는 한국이었으며, 이 기간 동안 가장 많이 결제된 항공권 역시 한국행이었다. 검색량 순위에서도 서울이 1위를 차지하며 폭발적인 관심을 입증했다. 이는 기존에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오던 일본을 완전히 밀어낸 결과라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한국의 뒤를 이어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이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지만, 단연 한국으로의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이러한 급격한 관광 지형의 변화는 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정치적 발언이 그 시발점이 되었다. 그가 대만 해협의 유사 상황 발생 시 일본의 집단 자위권 행사 가능성을 시사한 이후, 중국 정부는 이를 심각한 내정 간섭으로 규정하고 강한 불쾌감을 표출했다. 이후 중국은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 및 유학 자제를 권고하고, 일본 영화의 상영을 연기하거나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등 외교, 문화, 경제를 아우르는 전방위적 압박 카드를 꺼내 들었다. 결국 국가 간의 정치적 갈등이 민간 소비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아시아 관광 시장의 판도가 단기간에 재편되는 결과로 이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