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7만 8천 관중 삼킬 괴물 경기장, 오직 손흥민-메시 대결 위해 열린다

 세계 축구 팬들의 가슴을 설레게 할 꿈의 대결이 마침내 현실이 되었다. 미국프로축구(MLS) 무대를 뒤흔들고 있는 두 명의 슈퍼스타, '캡틴' 손흥민과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가 다음 시즌 개막전에서 정면으로 충돌한다. MLS 사무국은 공식 발표를 통해 한국 시간으로 내년 2월 22일, 손흥민의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FC(LAFC)와 메시가 이끄는 인터 마이애미의 경기를 2026시즌 개막전으로 확정했다. 이는 단순히 한 경기의 의미를 넘어, MLS가 리그의 흥행과 세계적인 관심을 폭발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성사시킨 세기의 매치업이라는 점에서 축구계의 모든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맞대결의 무게감은 경기장 선택에서부터 드러난다. 두 팀의 경기는 LAFC의 홈구장인 BMO 스타디움이 아닌, 7만 8천여 석 규모의 초대형 종합경기장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열린다. 이곳은 과거 두 차례의 LA 올림픽 개폐회식이 열렸던 상징적인 장소로, 미국 스포츠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곳이다. MLS 사무국이 구단의 홈구장을 벗어나 중립적인 대형 경기장을 선택한 것은, 손흥민과 메시의 만남이 불러일으킬 폭발적인 티켓 수요와 역사적인 순간을 감당하기 위한 파격적인 결정이다. 사무국은 이 경기를 '2026시즌 반드시 봐야 할 10경기' 중 첫 번째로 꼽으며, "MLS 최고의 스타 메시와 손흥민의 기대되는 대결을 위한 최적의 장소"라며 흥행에 대한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손흥민과 메시의 만남은 손흥민이 LAFC 유니폼을 입은 순간부터 예고된 최고의 흥행 카드였다. 하지만 두 선수가 각각 서부와 동부 콘퍼런스에 소속되어 있어 정규리그에서 만날 가능성이 희박했고, 팬들의 아쉬움은 커져만 갔다. MLS는 바로 이 점을 역이용했다. 각 팀이 다른 콘퍼런스 팀과 최소 한 경기를 치러야 하는 규정을 활용해, 리그의 간판스타인 두 사람을 가장 주목도가 높은 개막전에 배치하는 영리한 전략을 구사한 것이다. 이는 리그의 인기를 견인하는 두 슈퍼스타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시즌 시작부터 전 세계 축구 팬들의 이목을 미국으로 집중시키려는 MLS의 야심 찬 계획이 담겨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다음 시즌 개막전의 전초전이 올 시즌에 펼쳐질 가능성도 남아있다는 것이다. 현재 LAFC와 인터 마이애미는 각각 서부와 동부 콘퍼런스 플레이오프 준결승에 진출한 상태다. 만약 두 팀 모두 각 콘퍼런스 결승에서 승리하고 최종 우승을 가리는 MLS컵 결승에 진출한다면, 팬들은 예상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두 선수가 우승 트로피를 놓고 격돌하는 꿈의 무대를 목격하게 될 수도 있다. 두 선수가 공식 경기에서 맞붙는 것은 손흥민이 토트넘에서 뛰던 2018-2019시즌 유럽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이후 약 6년 만이다. 당시 메시의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1무 1패를 기록했던 손흥민이 새로운 무대에서 메시를 상대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그들의 재회에 대한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전국이 들썩인 '올해의 관광지 1위'는 바로 여기…'황리단길' 모르면 아재 인증

한국 관광의 별' 시상식을 열고, 한 해 동안 국내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한 주역들을 발표했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한 이 시상식에서 가장 주목받은 '올해의 관광지' 부문의 영예는 오래된 한옥 골목을 젊은 감각으로 재탄생시킨 경주 황리단길에게 돌아갔다. 또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신드롬을 일으키며 촬영지의 관광 활성화를 이끈 임상춘 작가가 한국관광 홍보 명예 공헌 인물로 선정되어, K-콘텐츠가 관광 산업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올해의 관광지'로 선정된 경주 황리단길의 성공 비결은 '재생'과 '조화'에 있다. 낡고 스러져가던 전통 한옥과 좁은 골목길을 젊은 창업가들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개조하여, 특색 있는 카페와 퓨전 음식점, 개성 넘치는 공방이 가득한 '힙'한 거리로 탈바꿈시켰다. 과거의 유산 위에 현대적인 감성을 덧입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 황리단길은, 기성세대의 향수와 젊은 세대의 트렌드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전 연령층이 사랑하는 전국적인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한편, 명예 공헌자로 선정된 임상춘 작가는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통해 제주는 물론 경북, 전남 등 주요 촬영지를 '가고 싶은 여행지'로 급부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잘 만들어진 스토리 하나가 수많은 관광객의 발길을 이끄는 강력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았다.이번 시상식에서는 황리단길과 임상춘 작가 외에도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관광 자원들이 '한국 관광의 별'로 이름을 올렸다. 깊은 사유의 공간으로 주목받는 대구 사유원이 '유망 관광지'로, 때 묻지 않은 자연을 간직한 제주 비양도가 '친환경 관광지'로 선정됐다. 장애물 없는 여행 환경을 조성한 강원 춘천의 김유정 레일바이크는 '무장애 관광지' 부문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상생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전북 고창 상하농원과, '누구나 반값 여행'이라는 파격적인 정책을 선보인 전남 강진, '꿈씨 패밀리' 캐릭터로 도시 마케팅의 새로운 장을 연 대전시가 각각 '지역상생 관광모델'과 '혁신 관광정책' 부문에서 수상하며 지역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친환경 걷기 여행 문화를 정착시킨 ㈔제주올레 역시 관광산업 발전 기여자로 인정받았다.정부는 이번 시상식을 계기로 K-컬처의 세계적인 인기를 K-관광의 질적 도약으로 연결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대현 문체부 차관은 "지금이 K-관광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강조하며,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지역 관광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육성하는 한편, 교통, 편의시설, 쇼핑, 안내 시스템 등 방문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지역 관광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키우겠다"고 말했다. 올해 '한국 관광의 별'로 선정된 이들은 단순한 수상자를 넘어, 대한민국 관광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