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큐브

피로 맺은 '형제의 나라' 튀르키예… 이재명, 순방 마지막 국가서 '역대급 계약' 터트리나

 이재명 대통령이 7박 10일간 이어진 중동·아프리카 순방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방문국, 튀르키예에 24일 오전(현지시간) 도착했다. 이번 순방의 마지막 퍼즐을 맞추기 위해 튀르키예 땅을 밟은 이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는 공군 1호기에서 내리며 팔짱을 낀 다정한 모습으로 현지 시각 오전 9시 정각, 탑승교를 천천히 내려왔다. 정연두 주튀르키예 대사를 비롯한 우리 측 환영 인사와 튀르키예 측 고위 관계자들의 영접을 받은 이 대통령 내외는 도열한 튀르키예 병사들을 사열하며 국빈으로서의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이는 단순한 방문을 넘어, '형제의 나라'로 불리는 양국의 특별한 관계를 재확인하고 미래 협력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핵심적인 외교 행보의 시작을 알리는 장면이었다.

 

이번 순방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맞춰져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로 예정된 회담에서 방산, 원자력, 바이오 등 미래 핵심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국빈 자격으로 방문한 만큼, 공식 환영식을 시작으로 최고 수준의 예우가 담긴 만찬까지 이어지는 등 극진한 환대가 예상된다. 이는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이번 회담을 통해 단순한 외교적 수사를 넘어 실질적인 경제·안보 협력 파트너십을 한 단계 격상시키려는 우리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양국의 끈끈한 유대감은 6.25 전쟁 당시 피로 맺어진 '형제의 나라'라는 특별한 호칭에 집약되어 있다. 튀르키예는 16개 유엔 참전국 중 미국, 영국, 캐나다에 이어 4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병하며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기꺼이 희생했다. 이처럼 과거에 보여준 숭고한 헌신은 7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양국 국민의 가슴속에 깊이 각인되어 있으며, 어떤 외교적 관계보다도 견고한 신뢰의 기반이 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이러한 역사적 인연을 되새기고, 과거의 고마움을 미래의 공동 번영으로 이어가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에서의 1박 2일간의 짧지만 의미 있는 일정을 소화한다. 에르도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25일에는 한국전 참전 용사 묘소를 찾아 헌화하며 '형제의 나라'를 위해 희생한 영웅들에게 깊은 경의를 표할 예정이다. 이어서 현지 동포간담회를 통해 먼 타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있는 동포들을 격려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 일정을 끝으로 이 대통령은 귀국길에 오르며, 지난 17일부터 시작된 7박 10일간의 빡빡했던 순방 외교의 마침표를 찍게 된다. 이번 순방이 실질적인 경제 성과와 함께 대한민국의 외교적 입지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 이름, 사실 튀르키예의 이 포도밭에서 시작됐다

를 확립한 니케아 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과거 미국에서 사목할 당시 가톨릭교회가 원주민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한 사죄의 뜻을 밝히기도 했던 교황이 ‘종교 간 대화’를 주제로 어떤 화합의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 순방은 기독교 역사의 뿌리가 서린 튀르키예와 역대 교황들이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한국의 성지들을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튀르키예는 이슬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초기 역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땅이다. 그 중심에는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시절 1100년간 기독교 세계의 심장이었던 이스탄불의 성소피아 성당이 있다. 비록 지금은 모스크로 사용되지만, 천장의 성모 마리아 모자이크와 복원 중인 예수의 벽화는 종교를 넘어선 공존의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이스탄불을 벗어나면 사도 요한이 성모 마리아를 모시고 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에페수스가 순례자들을 맞이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이곳에는 성모 마리아가 살았던 집터와 그의 무덤 위에 세워진 교회가 남아있어 성경 속 이야기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튀르키예 서부 지역은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소아시아 7대 교회’의 흔적을 따라가는 성지 순례의 핵심 코스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쌍벽을 이뤘던 도서관이 있던 페르가몬(베르가마), 염색업으로 부유했던 산업 도시 두아디라(아키사르), 체육관 유적이 인상적인 사르디스, 그리고 포도 재배지로 유명해 훗날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의 어원이 된 빌라델비아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특색을 간직한 채 수천 년의 시간을 증언하고 있다. 특히 파묵칼레의 석회붕과 온천으로 유명한 히에라폴리스 인근에 자리한 라오디게아 교회는 아름다운 자연과 성지가 어우러진 경이로운 풍경을 선사하며, 박해를 피해 신자들이 숨어 지냈던 아야지니 석굴 성당 등은 험난했던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되새기게 한다.역대 교황들의 방문으로 한국 역시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의미 깊은 성지로 자리매김했다.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서울 혜화동 가톨릭대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여의도에서 103위 시성식을 주재하며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을 높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전임 교황이 광화문 시복식과 함께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당진 솔뫼성지를 찾았다. ‘한국의 베들레헴’이라 불리는 솔뫼성지는 4대에 걸친 순교자의 흔적이 서려 있으며, 소나무 숲 사이로 난 ‘십자가의 길’은 순례자들에게 깊은 묵상의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많은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긴 다블뤼 주교의 거처였던 신리성지는 드넓은 들판에 우뚝 솟아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내며 한국 천주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