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차별 철폐" 외친 노동자들, 아이들 점심 멈췄다…교육부는 "최선" 말만 반복

 학교 급식과 돌봄을 책임지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칼을 빼 들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 소속 노동자들은 20일, 서울과 인천, 강원, 세종, 충북 등 5개 지역을 시작으로 대규모 릴레이 파업에 돌입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5개 교육청 소속 교육공무직원 5만 3천여 명 중 6천9백여 명이 파업에 동참해 12.9%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강원 지역의 파업 참여 인원이 1,79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과 인천, 충북이 각각 1,400명대를 넘어서며 뒤를 이었다. 이들은 고질적인 임금 및 수당 차별과 복리후생 불평등 문제를 더는 묵과할 수 없다며 단체행동에 나섰다.

 

파업의 여파는 아이들의 점심시간을 가장 먼저 덮쳤다. 파업이 진행된 5개 지역의 급식 대상 학교 3,298곳 가운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1,089개 학교에서 정상적인 급식 운영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갑작스러운 급식 중단에 대부분의 학교(1,055곳)는 빵과 우유 등 대체식을 긴급히 제공하며 혼란을 수습해야 했고, 일부 학교(34곳)는 학사일정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점심시간을 건너뛰었다. 나머지 2,209곳의 학교는 파업 참여 인원이 적거나 대체 인력이 투입되어 정상적으로 급식이 이루어졌지만, 파업 첫날부터 학교 현장 곳곳에서는 적지 않은 혼선이 빚어졌다.

 


맞벌이 가정의 시름을 덜어주던 돌봄교실 역시 일부 차질을 빚었다. 초등돌봄교실의 경우, 전체 1,480개 학교 중 132개 학교에서 파업 참여자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25개 학교(1.6%)의 돌봄 운영이 전면 중단됐다. 유치원 방과후 과정(돌봄) 역시 20곳(1.9%)이 문을 닫으면서 일부 학부모들이 불편을 겪어야 했다. 급식 대란에 비하면 돌봄 공백의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맞벌이 부부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노동자들의 생존권 투쟁과 아이들의 학습권 및 학부모의 돌봄 부담이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사회적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번 파업은 시작에 불과하다. 연대회의는 하루짜리 경고성 파업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전국적인 릴레이 투쟁을 예고했다. 이튿날인 21일에는 광주·전남·전북·제주 지역 노동자들이 바통을 이어받고, 다음 달 4일에는 경기·대전·충남, 5일에는 영남권(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 전체가 파업에 동참할 예정이다. 사실상 12월 초까지 전국 대부분의 학교가 파업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는 셈이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집단임금 교섭 타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지만, 노사 간의 입장 차가 커 연말 '급식·돌봄 대란'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국이 들썩인 '올해의 관광지 1위'는 바로 여기…'황리단길' 모르면 아재 인증

한국 관광의 별' 시상식을 열고, 한 해 동안 국내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한 주역들을 발표했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한 이 시상식에서 가장 주목받은 '올해의 관광지' 부문의 영예는 오래된 한옥 골목을 젊은 감각으로 재탄생시킨 경주 황리단길에게 돌아갔다. 또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신드롬을 일으키며 촬영지의 관광 활성화를 이끈 임상춘 작가가 한국관광 홍보 명예 공헌 인물로 선정되어, K-콘텐츠가 관광 산업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올해의 관광지'로 선정된 경주 황리단길의 성공 비결은 '재생'과 '조화'에 있다. 낡고 스러져가던 전통 한옥과 좁은 골목길을 젊은 창업가들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개조하여, 특색 있는 카페와 퓨전 음식점, 개성 넘치는 공방이 가득한 '힙'한 거리로 탈바꿈시켰다. 과거의 유산 위에 현대적인 감성을 덧입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 황리단길은, 기성세대의 향수와 젊은 세대의 트렌드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전 연령층이 사랑하는 전국적인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한편, 명예 공헌자로 선정된 임상춘 작가는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통해 제주는 물론 경북, 전남 등 주요 촬영지를 '가고 싶은 여행지'로 급부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잘 만들어진 스토리 하나가 수많은 관광객의 발길을 이끄는 강력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았다.이번 시상식에서는 황리단길과 임상춘 작가 외에도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관광 자원들이 '한국 관광의 별'로 이름을 올렸다. 깊은 사유의 공간으로 주목받는 대구 사유원이 '유망 관광지'로, 때 묻지 않은 자연을 간직한 제주 비양도가 '친환경 관광지'로 선정됐다. 장애물 없는 여행 환경을 조성한 강원 춘천의 김유정 레일바이크는 '무장애 관광지' 부문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상생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전북 고창 상하농원과, '누구나 반값 여행'이라는 파격적인 정책을 선보인 전남 강진, '꿈씨 패밀리' 캐릭터로 도시 마케팅의 새로운 장을 연 대전시가 각각 '지역상생 관광모델'과 '혁신 관광정책' 부문에서 수상하며 지역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친환경 걷기 여행 문화를 정착시킨 ㈔제주올레 역시 관광산업 발전 기여자로 인정받았다.정부는 이번 시상식을 계기로 K-컬처의 세계적인 인기를 K-관광의 질적 도약으로 연결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대현 문체부 차관은 "지금이 K-관광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강조하며,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지역 관광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육성하는 한편, 교통, 편의시설, 쇼핑, 안내 시스템 등 방문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지역 관광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키우겠다"고 말했다. 올해 '한국 관광의 별'로 선정된 이들은 단순한 수상자를 넘어, 대한민국 관광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