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우리 집도 예외 아니다…오래된 아파트 온수에서 '납'이 2배 검출

 라면을 끓이거나 요리를 할 때 조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무심코 수돗물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사소한 습관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요리나 음용 목적의 물을 사용할 때 수돗물 온수를 직접 사용하는 것을 피하라고 공식적으로 권고했다. 그 이유는 온수가 보일러나 온수관을 거쳐 나오는 과정에서 냉수보다 중금속 등 유해물질에 오염될 가능성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위생의 문제를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에 우리 가족의 건강이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지적이다.

 

국내 기관 역시 같은 의견을 내놓았다. 서울아리수본부는 온수 배관의 목적 자체가 음용이 아닌 난방이나 온수 공급에 맞춰져 있다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화학 반응성이 높아 배관의 부식을 더 빠르게 진행시키며, 이 과정에서 배관 재질에 포함된 다양한 금속 성분이 물에 녹아 나올 가능성이 커진다. 결국 우리가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온수에는 납을 비롯한 각종 중금속과 불순물이 냉수보다 더 많이 포함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깨끗하게 정수된 물이라도 노후된 온수관을 통과하는 순간, 그 수질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태로 변질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은 실제 실험을 통해서도 구체적인 수치로 증명되었다. 준공된 지 40년이 지난 오래된 아파트에서 온수와 냉수를 각각 채취하여 납 성분 검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온수에서 냉수보다 2배가량 많은 납 성분이 검출되었다. 비록 검출된 양이 법적 기준치의 절반 수준에 그쳐 당장 인체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정도는 아니었지만, 전문가들은 결코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니라고 경고한다. 기준치 이하라도 중금속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신장 기능 저하나 심각한 신경계 손상 등 돌이킬 수 없는 건강상의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으로 요리 시에는 반드시 냉수를 사용할 것을 한목소리로 권장한다. 냉수를 받아 냄비나 주전자에 직접 가열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는 것이다. 또한, 냉수라 할지라도 밤새 혹은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 배관 속에 고여 있던 물에는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 전 약 30초 정도 물을 그냥 흘려보내 배관을 한번 씻어낸 뒤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사소해 보이는 작은 습관의 변화가 우리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중금속 오염의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지키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 이름, 사실 튀르키예의 이 포도밭에서 시작됐다

를 확립한 니케아 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과거 미국에서 사목할 당시 가톨릭교회가 원주민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한 사죄의 뜻을 밝히기도 했던 교황이 ‘종교 간 대화’를 주제로 어떤 화합의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번 순방은 기독교 역사의 뿌리가 서린 튀르키예와 역대 교황들이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한국의 성지들을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튀르키예는 이슬람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초기 역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땅이다. 그 중심에는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시절 1100년간 기독교 세계의 심장이었던 이스탄불의 성소피아 성당이 있다. 비록 지금은 모스크로 사용되지만, 천장의 성모 마리아 모자이크와 복원 중인 예수의 벽화는 종교를 넘어선 공존의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이스탄불을 벗어나면 사도 요한이 성모 마리아를 모시고 와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에페수스가 순례자들을 맞이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이곳에는 성모 마리아가 살았던 집터와 그의 무덤 위에 세워진 교회가 남아있어 성경 속 이야기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튀르키예 서부 지역은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소아시아 7대 교회’의 흔적을 따라가는 성지 순례의 핵심 코스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쌍벽을 이뤘던 도서관이 있던 페르가몬(베르가마), 염색업으로 부유했던 산업 도시 두아디라(아키사르), 체육관 유적이 인상적인 사르디스, 그리고 포도 재배지로 유명해 훗날 미국 도시 필라델피아의 어원이 된 빌라델비아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특색을 간직한 채 수천 년의 시간을 증언하고 있다. 특히 파묵칼레의 석회붕과 온천으로 유명한 히에라폴리스 인근에 자리한 라오디게아 교회는 아름다운 자연과 성지가 어우러진 경이로운 풍경을 선사하며, 박해를 피해 신자들이 숨어 지냈던 아야지니 석굴 성당 등은 험난했던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되새기게 한다.역대 교황들의 방문으로 한국 역시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의미 깊은 성지로 자리매김했다.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서울 혜화동 가톨릭대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여의도에서 103위 시성식을 주재하며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을 높였다.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전임 교황이 광화문 시복식과 함께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당진 솔뫼성지를 찾았다. ‘한국의 베들레헴’이라 불리는 솔뫼성지는 4대에 걸친 순교자의 흔적이 서려 있으며, 소나무 숲 사이로 난 ‘십자가의 길’은 순례자들에게 깊은 묵상의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많은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긴 다블뤼 주교의 거처였던 신리성지는 드넓은 들판에 우뚝 솟아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내며 한국 천주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