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아버지는 재벌 회장, 본인은 하버드 출신…뉴욕 뒤흔든 '엄친딸' 경찰청장

 미국 정치 지형의 대척점에 서 있는 진보 성향의 시장 당선인과 현 경찰청장의 이례적인 동행이 결정되면서 뉴욕 정가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조란 맘다니 뉴욕시장 당선인은 내년 1월 공식 임기 시작에 앞서, 제시카 티시 현 경찰청장을 유임시키겠다는 뜻을 공식화했다. 이는 선거 기간 내내 경찰 조직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예산 삭감까지 주장했던 맘다니 당선인의 기존 행보와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정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경찰 개혁을 외치던 그가 돌연 조직의 수장을 신임한 배경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맘다니 당선인과 티시 청장의 이번 결정은 몇 차례의 깊이 있는 대화를 통해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맘다니 당선인은 성명을 통해 "티시 청장은 경찰 고위층의 부패를 척결하고 뉴욕시의 범죄율을 낮추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고 평가하며 그의 리더십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맘다니 당선인의 진보적 성향 때문에 티시 청장이 유임 제안을 거절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하지만 티시 청장은 "맘다니 당선인의 제안을 수락하기로 결정했으며, 앞으로도 뉴욕시를 위해 봉사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히며 이러한 예상을 뒤엎고 협력의 손을 잡았다.

 


티시 청장은 뉴욕 경찰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에 구원투수로 등판한 인물이다. 그의 전임자와 임시 청장까지 연달아 연방수사국(FBI)의 수사 대상에 오르며 불명예 퇴진하자, 에릭 애덤스 현 시장은 작년 11월 당시 40대 초반의 젊은 인재였던 티시를 전격 발탁했다. 하버드대를 졸업하고 2008년부터 뉴욕경찰에서 경력을 쌓은 그는 잠시 조직을 떠나 시 정보기술·통신국장, 위생국장 등을 역임하며 행정 경험까지 두루 갖췄다. 특히 그의 부친은 대기업 로우즈의 최고경영자(CEO)로, 명망 높은 가문 출신이라는 배경 또한 그에 대한 신뢰를 더했다.

 

티시 청장은 1년이 채 안 되는 짧은 재임 기간에 FBI 수사로 어수선해진 경찰 조직을 빠르게 안정시키고 실제 뉴욕시의 범죄율을 낮추는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그의 능력은 진영을 초월한 지지를 이끌어내는 원동력이 되었다. 뉴욕 재계는 물론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법무장관 등 민주당의 주요 인사들까지 한목소리로 그의 유임을 강력하게 요구해왔다. 결국 맘다니 당선인 역시 정치적 이념을 넘어 도시의 안정과 치안이라는 실리를 택한 것으로, 그의 이번 결정이 향후 뉴욕시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