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산 채로 화장될 뻔?… 65세 여성 관에서 깨어난 충격적인 이유

 사망한 것으로 여겨져 장례 절차를 밟던 60대 여성이 화장 직전 관 속에서 깨어나는 충격적인 사건이 태국에서 발생했다. 자칫하면 산 채로 화장될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으나, 기적적으로 생환한 이 여성의 사연은 현지 사회에 큰 놀라움과 안도를 안기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방콕 포스트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태국 방야이 지역의 한 사찰에서 지난 23일 65세 여성 A 씨의 장례가 진행되던 중 이 같은 믿기 힘든 일이 벌어졌다. A 씨는 전날 집에서 쓰러진 채 발견됐는데, 숨을 쉬지 않는 상태였기 때문에 가족들과 마을 주민들은 그가 이미 세상을 떠났다고 판단했다.

 

3년 동안 A 씨를 지극정성으로 돌봐 온 남동생은 슬픔을 감추지 못한 채 누나의 시신을 관에 안치하고, 전통에 따라 곧바로 장례 및 화장을 진행하기 위해 사찰로 운구했다. 태국에서는 사망 후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화장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A 씨의 관은 곧바로 화장터로 옮겨질 준비를 하고 있었다.

 

사건은 사찰 직원들이 화장 전 마지막 준비를 위해 관을 옮기려던 순간 발생했다. 적막한 사찰 안, 관 내부에서 갑자기 '쿵쿵'하는 미세한 소리가 울려 퍼진 것이다. 처음에는 착각이라 여겼으나, 소리는 다시 명확하게 들려왔고, 직원들은 공포와 의아함 속에서 조심스럽게 관 뚜껑을 열었다.

 

관 뚜껑이 열리자, 모두가 사망했다고 믿었던 A 씨가 미세하게 몸을 움직이는 모습이 포착됐다. 사찰 직원들은 충격과 안도감 속에서 즉시 A 씨를 병원으로 긴급 이송했다.

 


병원에서 진행된 정밀 검사 결과, A 씨가 쓰러졌던 원인은 심정지가 아닌 심각한 저혈당 쇼크 때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의료진은 A 씨에게 심정지의 흔적은 전혀 없었음을 확인하며, 가족과 마을 주민들의 '사망 오인'이 불러온 해프닝이었음을 최종적으로 판정했다.

 

남동생과 가족들은 누나를 잃은 슬픔에서 벗어나 기적적인 생환에 안도하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현지 언론은 이 사건을 '관 속의 기적'으로 대서특필하며, 사망 판정을 내리는 과정에서의 신중함과 응급 상황 대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A 씨는 현재 병원에서 회복 중이며, 가족들은 기적적으로 되찾은 생명에 감사하고 있다.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