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키움-두산-KIA' 너넨 좋겠다…역대급 '1라운드 맛집' 예고한 두 천재

 내년 KBO 신인 드래프트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역대급 재능'들이 동시에 등장해 야구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투수와 타자를 겸업하며 '한국의 오타니'를 꿈꾸는 부산고의 좌완 하현승과 덕수고의 유격수 엄준상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150km를 넘나드는 강속구를 뿌리면서도, 동시에 팀의 중심 타선을 이끄는 두 선수의 압도적인 재능에 KBO 스카우트들은 물론 메이저리그까지 뜨거운 관심을 보내고 있다. 성적 역순에 따라 키움, 두산, KIA가 최상위 지명권을 행사할 내년 드래프트에서 과연 누가 '최대어'의 영예를 안고 가장 먼저 이름이 불리게 될지 벌써부터 야구계의 모든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메이저리그 스카우트들의 레이더망에 이미 포착된 하현승은 194cm의 압도적인 신체조건을 갖춘 좌완 파이어볼러다. 최고 152km에 이르는 타점 높은 직구는 이미 고교 수준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 17경기에 등판해 6승 무패, 평균자책점 1.84라는 완벽에 가까운 투구를 선보였고, 49⅓이닝 동안 삼진을 64개나 잡아내는 괴력을 과시했다. 그의 재능은 마운드에만 그치지 않는다. 타자로서도 26경기에서 5개의 홈런을 터뜨리며 OPS 0.983을 기록, 뛰어난 외야수로서의 가치까지 스스로 증명했다. 연고팀인 롯데 자이언츠를 특정하지 않고 "10개 구단 모두 좋은 팀이라 생각한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인 그는 이미 프로선수 못지않은 성숙함까지 갖췄다는 평이다.

 


하현승이 투수로서 더 큰 주목을 받는다면, 엄준상은 '공수를 겸비한 파워히터 유격수'라는 희소성으로 자신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있다. 150km가 넘는 공을 던지는 투수 재능도 뛰어나지만, 안정적인 수비와 클러치 능력을 갖춘 유격수라는 점이 더욱 매력적이다. 올해 투수로는 40⅔이닝 동안 단 5개의 볼넷만 내주는 정교한 제구력으로 0.66의 경이적인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타자로는 3할이 넘는 타율과 22타점을 올리며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아버지가 대전 출신이라 한화 이글스를 좋아했다는 인간적인 면모를 보이면서도, "상위 순번인 키움, 두산, KIA에 뽑히는 선수가 되고 싶다"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픈 강한 승부욕을 숨기지 않았다.

 

두 괴물 신인의 꿈은 KBO를 넘어 세계 최고 무대를 향하고 있다. 하현승은 부산고 선배인 추신수와 현대 야구의 아이콘 오타니 쇼헤이를 롤모델로 꼽으며 "한국 야구의 미래가 될 수 있도록 더 열심히 하겠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엄준상은 피츠버그 시절의 강정호를 떠올리며 "전성기 강정호 선배처럼 멋진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거포 유격수가 되고 싶다"고 다짐했다. 각기 다른 매력과 무한한 잠재력으로 무장한 두 천재. 과연 누가 먼저 프로의 지명을 받고, 자신의 롤모델처럼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슈퍼스타로 성장하게 될지, 그들의 첫걸음에 야구팬들의 심장이 뜨거워지고 있다.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