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큐브

캐나다 로키, 유럽 알프스인 줄?…알고 보니 '이 나라'였다

 미지의 땅으로 여겨졌던 중앙아시아가 대한민국 여행객들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급부상하고 있다. 센트럼항공, 이스타항공 등 항공사들이 앞다투어 직항 노선을 늘리고, 우리와 닮은 듯 낯선 문화와 풍습이 알려지면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을 향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디지털 여행 플랫폼 아고다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이들 중앙아시아 4개국에 대한 한국인 여행객의 숙박 검색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무려 225%나 급증했다. 이는 단순히 일부 마니아층의 관심을 넘어, 대중적인 여행지로서 중앙아시아의 잠재력이 마침내 폭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신호다. 캐나다 로키를 닮은 호수와 유럽 알프스 같은 산맥, 신비로운 이슬람 건축물이 공존하는 이곳의 잠자던 매력이 여행 본능을 깨우고 있다.

 

이번 중앙아시아 열풍의 중심에는 단연 실크로드의 심장 우즈베키스탄과 대자연의 나라 카자흐스탄이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전체 검색량이 234% 상승하며 과거 동서양 교역 중심지의 명성을 되찾고 있다. 특히 티웨이항공이 지난 5월 저비용항공사 최초로 인천-타슈켄트 직항 노선을 열면서 수도 타슈켄트의 검색량은 289%라는 경이로운 증가율을 기록했다. 사마르칸트와 부하라 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도시들도 각각 127%, 59%의 검색 증가를 보이며 그 뒤를 이었다. 카자흐스탄의 약진은 더욱 놀랍다. 전년 대비 295%라는 폭발적인 검색량 증가는 중앙아시아 4개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이스타항공의 인천-알마티 직항 운항에 힘입어, 과거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알마티는 검색량이 무려 348%나 치솟았다. 스캇항공이 취항한 심켄트 역시 89%의 증가율을 보이며 새로운 인기 도시로 떠올랐다.

 


모험과 자연을 사랑하는 여행객들의 시선은 '중앙아시아의 알프스' 키르기스스탄과 웅장한 파미르 고원을 품은 타지키스탄으로 향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은 전년 대비 61%의 검색량 상승을 기록하며, 특히 드넓은 초원에서 즐기는 승마 체험과 전통 가옥 '유르트'에서의 하룻밤 등 이색적인 경험으로 여행객을 유혹하고 있다. 트레킹의 성지로 불리는 이식쿨 호수 인근의 카라콜과 촐폰아타는 각각 127%, 83%의 검색 증가율을 보이며 자연 친화적 여행의 인기를 증명했다. 타지키스탄 역시 최근 국내 여행 다큐멘터리에 소개된 이후 검색량이 43% 증가하며 조용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도 두샨베는 유럽풍 건축물과 전통 시장이 어우러진 독특한 분위기로 41%의 검색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한국이 도시철도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소식은 양국의 거리를 더욱 가깝게 만들고 있다.

 

이처럼 중앙아시아가 새로운 여행 대세로 떠오른 것은 단순히 항공편이 늘어난 것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고구려, 신라와 교류했던 역사의 흔적이 남아있는 사마르칸트의 아프로시압 박물관 벽화처럼, 우리와 의외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는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크로드를 따라 흐르는 깊은 인문학적 스토리와 의외로 우리 입맛에 잘 맞는 다채로운 음식 문화는 여행의 만족도를 한층 높여준다. 유럽의 익숙함이나 동남아의 북적임과는 전혀 다른, 날것 그대로의 자연과 신비로운 고대 도시, 그리고 사람들의 순박한 미소가 공존하는 곳. 중앙아시아는 익숙한 여행지에 싫증을 느낀 한국인들에게 '발견의 기쁨'을 선사하며 당분간 그 뜨거운 인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전국이 들썩인 '올해의 관광지 1위'는 바로 여기…'황리단길' 모르면 아재 인증

한국 관광의 별' 시상식을 열고, 한 해 동안 국내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한 주역들을 발표했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한 이 시상식에서 가장 주목받은 '올해의 관광지' 부문의 영예는 오래된 한옥 골목을 젊은 감각으로 재탄생시킨 경주 황리단길에게 돌아갔다. 또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신드롬을 일으키며 촬영지의 관광 활성화를 이끈 임상춘 작가가 한국관광 홍보 명예 공헌 인물로 선정되어, K-콘텐츠가 관광 산업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올해의 관광지'로 선정된 경주 황리단길의 성공 비결은 '재생'과 '조화'에 있다. 낡고 스러져가던 전통 한옥과 좁은 골목길을 젊은 창업가들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개조하여, 특색 있는 카페와 퓨전 음식점, 개성 넘치는 공방이 가득한 '힙'한 거리로 탈바꿈시켰다. 과거의 유산 위에 현대적인 감성을 덧입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 황리단길은, 기성세대의 향수와 젊은 세대의 트렌드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전 연령층이 사랑하는 전국적인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한편, 명예 공헌자로 선정된 임상춘 작가는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통해 제주는 물론 경북, 전남 등 주요 촬영지를 '가고 싶은 여행지'로 급부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잘 만들어진 스토리 하나가 수많은 관광객의 발길을 이끄는 강력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았다.이번 시상식에서는 황리단길과 임상춘 작가 외에도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관광 자원들이 '한국 관광의 별'로 이름을 올렸다. 깊은 사유의 공간으로 주목받는 대구 사유원이 '유망 관광지'로, 때 묻지 않은 자연을 간직한 제주 비양도가 '친환경 관광지'로 선정됐다. 장애물 없는 여행 환경을 조성한 강원 춘천의 김유정 레일바이크는 '무장애 관광지' 부문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상생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전북 고창 상하농원과, '누구나 반값 여행'이라는 파격적인 정책을 선보인 전남 강진, '꿈씨 패밀리' 캐릭터로 도시 마케팅의 새로운 장을 연 대전시가 각각 '지역상생 관광모델'과 '혁신 관광정책' 부문에서 수상하며 지역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친환경 걷기 여행 문화를 정착시킨 ㈔제주올레 역시 관광산업 발전 기여자로 인정받았다.정부는 이번 시상식을 계기로 K-컬처의 세계적인 인기를 K-관광의 질적 도약으로 연결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대현 문체부 차관은 "지금이 K-관광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강조하며,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지역 관광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육성하는 한편, 교통, 편의시설, 쇼핑, 안내 시스템 등 방문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지역 관광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키우겠다"고 말했다. 올해 '한국 관광의 별'로 선정된 이들은 단순한 수상자를 넘어, 대한민국 관광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