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9만 원짜리 장식장에서 발견된 '1000만 원대 명품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한 여성이 중고 가구를 구매했다가 예상치 못한 '보물'을 발견해 화제가 되고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이 7일(현지 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주인공 아만다 드윗은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평소 갖고 싶었던 스타일의 장식장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는 데 성공했다.

 

드윗이 구매한 장식장은 원래 가격의 9분의 1이라는 파격적인 할인가로 판매되고 있었다. 평소 이러한 스타일을 찾고 있었던 그녀는 망설임 없이 구매를 결정했다. 하지만 가구가 배달된 후 그녀가 맞이한 것은 예상을 뛰어넘는 놀라운 발견이었다.

 

집으로 배달된 가구의 상태를 점검하던 중, 드윗은 서랍 안에서 고급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Hermès)와 티파니앤코(Tiffany & Co.)의 상자들을 발견했다. 에르메스 상자 안에는 개당 250달러(약 36만 원)에 달하는 '디너 플레이트' 세트와 185달러(약 27만 원) 상당의 '디저트 접시' 세트가 들어있었다. 티파니앤코 상자에서는 고급스러운 '케이크 서빙 나이프'가 발견됐다.

 


이러한 고가의 명품 식기류를 발견한 드윗은 즉시 영상을 촬영해 증거를 남긴 후, 판매자에게 연락을 취했다. 연락을 받은 판매자는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는데, 알고 보니 이 물건들은 판매자 부부의 결혼을 기념하여 구매했던 특별한 주방용품들이었다. 가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서랍 안에 보관된 귀중품들을 미처 확인하지 못한 것이었다.

 

드윗은 주저 없이 이 물건들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기로 결정했다. 그녀는 "판매자가 물건들을 되찾으러 왔을 때 매우 감사해했다"며 "결혼을 기념하여 구매한 이렇게 아름다운 컬렉션을 잃어버렸다면 정말 마음이 아팠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사연이 알려지자 소셜미디어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쏟아졌다. 많은 네티즌들이 "당신의 정직함과 양심에 박수를 보낸다", "선한 행동은 반드시 보상받을 것"이라며 드윗의 행동을 칭찬했다. 반면 일부 네티즌들은 "물건을 판매하기 전에 내부 확인도 하지 않은 판매자의 부주의함"을 지적하며, "그렇게 소중한 물건들을 제대로 관리했어야 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