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롯데면세점, 다이궁 손절…업계 처음 중단 통보

롯데면세점이 면세업계에서 처음으로 중국인 보따리상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하며 고강도 체질 개선에 나섰다. 12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말, 거래 규모가 큰 주요 중국인 보따리상들에게 이달부터 면세품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롯데면세점의 이번 결정은 수익성 회복을 위한 절박한 시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지난 몇 년간 면세업계는 중국인 보따리상과의 거래로 높은 매출을 올렸으나, 이로 인해 면세점들은 큰 손실을 떠안았다. 보따리상들은 면세품을 대량으로 구매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지로 유통시키면서 면세점에 비정상적인 가격 할인을 요구했다. 특히, 면세품을 헐값에 대량으로 구매하는 방식은 면세점들의 수익을 갉아먹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중국인 보따리상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계기는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 이후였다. 이후 코로나19로 입출국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보따리상의 입지는 더욱 확장됐다. 면세업계는 중국인 관광객의 대체재로 보따리상에게 의존하며 어려운 상황을 견뎌왔으나, 이러한 영업 방식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 롯데면세점은 거래 중단을 결단했다.

 

2023년 1월부터 롯데면세점은 보따리상에게 제공하는 수수료를 점진적으로 인하했으나, 여전히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컸다. 수수료가 35%까지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면세점은 여전히 높은 손실을 기록했다. 2023년 롯데면세점은 예상보다 큰 영업 손실을 입었으며, 지난해 1~3분기까지 주요 면세업체들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1,355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롯데면세점이 거래를 중단한 이유는 '매출 급감'보다 '수익성 회복'에 초점을 맞추기 위함이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인 보따리상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50%에 달했다. 거래 중단으로 인한 매출 감소는 불가피하지만, 이를 통해 손실을 줄이고 수익성을 살려내겠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결정은 롯데면세점의 김동하 대표가 지난해 12월 취임 후 강조한 ‘수익성 중심의 경영’ 방침과 일치한다. 김 대표는 신년사에서 "과거 면세점이 볼륨 중심의 성장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수익성 중심으로 경영활동을 추진할 시점"이라며, "포트폴리오 재조정을 통해 중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롯데면세점은 중국인 보따리상과의 거래 중단 이후, 내국인 관광객 및 외국인 개별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마케팅 부문을 폐지했던 것을 복원하고, 마케팅 전략팀과 자유 여행객(FIT) 마케팅팀 등을 조직해 더욱 세분화된 대응을 하고 있다.

 

업계는 롯데면세점의 이 같은 결정이 면세업계의 전반적인 체질 개선을 이끌어낼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다른 면세점들은 아직 중국인 보따리상과의 거래를 완전히 중단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의존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편, 면세업계는 내국인과 외국인 개별 관광객 유치에 주력하는 한편, 국내외 대형 항공사 및 여행사와의 제휴를 통해 새로운 수익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면세점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체질 개선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