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큐브

나훈아, 할 말은 하고 간다! 은퇴 무대서 정치권 저격

‘가황’ 나훈아가 은퇴 투어를 마무리하며 59년의 가수 인생에 마침표를 찍었다. 그러나 이번 공연은 음악적 업적보다 정치적 발언으로 더 큰 화제를 모았다. 나훈아는 12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KSPO돔에서 진행된 ‘2024 고마웠습니다-라스트 콘서트’를 성황리에 마무리하며 은퇴를 선언했다.

 

나훈아는 지난해 2월 전격적으로 은퇴를 발표하며, 두 달 후부터 은퇴 투어를 시작했다. 이 투어는 인천, 광주, 울산, 대구, 부산 등 전국 14개 도시를 거쳐 서울에서 대미를 장식했다. 공연 중 나훈아는 “절대 울지 않고 씩씩하게 더 신명나게 잘하겠다”며, 70세가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2시간 30분의 긴 러닝타임을 소화하며 현역 가수 못지않은 에너지로 관객을 사로잡았다. 그는 “한 번 말했으니 할 수 없다”며 은퇴 번복 의사를 분명히 했다. 

 

나훈아는 공연 중 스타로서의 삶을 넘어서 평범한 일상에 대한 갈망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그동안 구름 위를 걸어다니고 별 밖 하늘에서만 살았는데 이제는 땅에 걸어다니겠다”고 언급하며, 은퇴를 결심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그의 은퇴 콘서트는 음악적인 감동보다 정치적 발언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공연이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진행된 만큼, 나훈아의 정치적 발언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는 10일 공연 중 “왼쪽이 오른쪽을 보고 잘못했다고 생난리를 치고 있다”고 말하며 정치권에 대해 쓴소리를 내놓았다. 이는 여당과 야당의 갈등을 비판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그는 “어머니는 형제가 어떤 이유로도 싸우면 안 된다고 하셨다. 지금의 상황은 과연 국가를 위한 일인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즉시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나훈아의 발언은 동의하기 어렵다”며 ‘양비론’적인 태도를 비판했다. 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세상일에 눈 감고 살았으면 은퇴하고 조용히 갔어야 한다”며 나훈아의 발언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대한민국을 정상적으로 되돌리기 위해 우리 국민이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 알고 그런 말을 하는 것인지 묻고 싶다”며 나훈아의 태도를 비난했다.

 

그러나 나훈아는 공연 중 이러한 비판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왼쪽만 못했고 오른쪽은 잘했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니는 잘했나’라고 한 것”이라며 발언의 의도를 설명했다. 그는 야당의 비판에 대해 “저것들, 자기 일이나 똑바로 하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와 같은 발언은 공연의 마지막 날까지 계속 이어졌다. 나훈아는 “여러분이 뭐라고 하시면 인정하겠다. 하지만 정치권은 내가 절대 용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나훈아의 정치적 발언을 두고 온라인에서는 찬반 논란이 일었다. 일부 누리꾼들은 나훈아의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비판하며, "계엄 사태에 대한 나훈아의 인식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반면, 일부는 나훈아의 직설적인 발언을 지지하며 “그가 할 말은 했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나훈아는 1966년 ‘천리길’로 가요계에 데뷔한 이후, ‘명자’, ‘홍시’, ‘사랑’, ‘무시로’, ‘울긴 왜 울어’, ‘사모’, ‘정이 웬수야’ 등 수많은 히트곡으로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의 은퇴는 가요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번 공연은 그가 가수로서 쌓아온 오랜 역사를 마무리하는 중요한 순간이었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