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큐브

인도네시아 3차 예선 신화 이끈 신태용, 배신의 칼날 맞다

 인도네시아 축구계가 신태용 감독의 갑작스러운 경질로 격랑에 휩싸였다. 사상 첫 월드컵 3차 예선 진출이라는 역사적 성과를 이끈 명장을 일방적으로 해임하면서 축구팬들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인도네시아 축구협회(PSSI)는 1월 6일, 2027년까지 유효했던 신태용 감독의 계약을 전격 해지했다. 에릭 토히르 PSSI 회장은 "인도네시아 축구는 더 높은 성적을 바라보고 있다"는 간단한 설명과 함께 네덜란드의 전설적인 공격수 출신 패트릭 클루이베르트를 새로운 사령탑으로 선임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축구팬들은 즉각적인 반발을 시작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신태용', 'STY' 등의 키워드로 하루 24만 건이 넘는 게시글이 쏟아졌으며, '#STYSTAY' 해시태그 운동이 폭발적으로 확산됐다. 한 팬은 "지금까지 본 모든 한국 드라마보다 신태용 감독의 경질 소식이 더 슬프다"며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더불어 '#ThanksSTY' 운동도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신태용 감독의 헌신과 업적에 감사를 표하는 팬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이다. 실제로 신 감독은 인도네시아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2026년 북중미월드컵 3차 예선 진출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이뤄냈으며, 현재 예선 C조에서 3위를 기록하며 선전하고 있다.

 

후임으로 선임된 클루이베르트는 취임 기자회견에서 "압박감을 즐기며, 4년 계획을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그는 PSSI와 2년 계약에 연장 옵션을 포함한 계약을 체결했지만, 팬들의 반응은 여전히 차갑다.

 

신태용 감독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마지막까지 품격 있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는 SNS를 통해 "토히르 회장이 아니었다면 지금의 성과를 이루지 못했을 것"이라며 감사를 표했고, "인도네시아 선수들이 2026년 월드컵에 꼭 진출하기를 바란다"는 진심 어린 응원의 메시지를 남겼다.

 

이번 사태는 동남아시아 축구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던 인도네시아 축구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신태용 감독이 이끈 2년여 동안 이룬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이 새로운 체제에서도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