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슈
2025년 미술관 나들이, 호암미술관에서 시작하세요!

호암미술관은 4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16761759)을 집중 조명하는 특별전을 개최하는데, 2015년 이후 10년 만에 공개되는 국보 '금강전도'는 놓쳐서는 안 될 걸작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고서화 최대 보고인 간송미술관과의 합작으로, 겸재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8월에는 20세기 현대미술의 거장 루이스 부르주아(19112010) 회고전이 기다리고 있는데, '거미 엄마' 조각 '마망'(Maman)으로 잘 알려진 부르주아의 초기 회화 작품들이 대거 공개될 예정이다.
국내 최초 공개인 만큼, 그의 예술 세계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삼성가의 또 다른 미술관인 리움미술관도 굵직한 전시를 예고했는데, 2월에는 생태학, 기술과학 등 다학제적 접근으로 현대 사회 이슈를 다뤄온 프랑스 작가 피에르 위그 개인전이, 9월에는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탐구해 온 한국 여성 작가 이불 개인전이 각각 열린다.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 미술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는 기획전들을 준비했는데, 4월 덕수궁관에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 근대미술 속 초현실주의 경향을 살펴보는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전이, 5월 서울관에서는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기울인 몸들: 서로의 취약함이 만날 때'전이 개막한다.

개인전으로는 한국적 표현주의 화가 이대원 회고전이 12월 덕수궁관에서 열리는데, 놀랍게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첫 개인전이다. 미술시장에서 뜨거운 인기를 누려왔지만, 그만큼 미술사적 평가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던 이대원의 작품 세계를 재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서울시립미술관은 8월 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를 개최하며,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3월 '조선민화대전', 8월 미국 추상미술 거장 마크 브래드포드 개인전을 통해 관람객을 맞이한다. 특히 5월에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한국미술 1900-1960', 서울관에서 '한국미술 1960-1990'이라는 타이틀로 각각 상설전을 마련했고, 8월 서울관에서 '김창열'전을 통해 단색화 작가에 대한 릴레이 조명을 이어간다.
한편, 사립인 아트선재센터에서는 2월 단색화 작가 하종현의 초기 작업을 집중 조명하는 '하종현 5975'을 개최한다.
- 시간당 2000원으로 즐기는 실제 배틀로얄... 성수동에 등장한 충격적인 '배그 성지'
- '건강한 다이어트 식단'이 오히려 독? 황 성분이 만드는 끔찍한 방귀 냄새의 비밀
- 19년 동안 벽을 파낸 남자의 충격적 진실... 교도소장도 몰랐던 '쇼생크의 비밀'
- 박보검 '맞고 또 맞고'...굿보이 시청자들이 드라마 포기한 진짜 이유
- 카리나 충격고백 '에스파 은퇴 후 연기자 변신?'
- 룰라, 트럼프 관세 폭탄에 오히려 땡큐
- 10년 침묵 깬 정선희 “살고 싶지 않았다” 눈물 고백
- '스마일 점퍼' 우상혁, 모나코에서 또 활짝 웃을까요?
- '비 온다더니' 댐 비웠다 물 말랐다…정부도 예측 못한 '가뭄 쓰나미'
- "진실이 이겼다!" 기성용, 4년 지옥 끝 '성폭행 의혹' 완벽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