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슈

문학계는 지금 '여풍당당'! 젊은작가상, 여성들이 '싹쓸이'

 문학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문학동네는 4일,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 발표를 통해 백온유 작가의 '반의반의 반'을 대상작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수상자 전원이 여성 작가로 구성되어 한국 문단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젊은작가상은 2010년 제정된 이래, 한국 문학계의 새로운 주역을 발굴하는 등용문 역할을 해왔다. 등단 10년 이내 작가들의 중·단편 소설을 대상으로 하며, 매년 7편의 우수작을 선정해 각각 7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차등 없는 상금 지급은 신진 작가들의 창작 의욕을 고르게 북돋우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번 수상작들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단면을 예리하게 포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상을 수상한 백온유 작가의 '반의반의 반'은 인간 관계의 복잡미묘한 심리를 섬세하게 그려냈다. 심사위원들은 "기대가 원망으로, 의심이 믿음으로 변모하는 인간사의 아이러니를 탁월하게 포착했다"고 호평했다.

 


함께 선정된 작품들도 주목할 만하다. 강보라 작가의 '바우어의 정원', 서장원 작가의 '리틀 프라이드', 성해나 작가의 '길티 클럽: 호랑이 만지기', 성혜령 작가의 '원경', 이희주 작가의 '최애의 아이', 현호장 작가의 '∼∼물결치는∼몸∼떠다니는∼혼∼∼'은 각각 독특한 시선과 서사로 현대인의 삶을 조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올해 수상자 전원이 여성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2014년, 2021년, 2023년에 이어 네 번째로, 한국 문학계에서 여성 작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문학의 다양성 확대와 젠더 균형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상 수상자인 백온유 작가는 2017년 장편동화 '정교'로 문단에 데뷔한 이후, '유원', '페퍼민트', '경우 없는 세계' 등 장편소설을 통해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왔다. 그의 작품은 섬세한 심리 묘사와 현실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으로 주목받아 왔다.

 

문학동네는 이번 수상작들에 대한 상세한 심사평과 대상 수상 작가와의 인터뷰를 계간 '문학동네' 봄호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수상작품집은 4월 중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어서, 독자들은 한국 문학의 새로운 흐름을 한 권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된다.

 

초여름 더위 날릴 중부지방 숨은 보석들! 역사와 절경 품은 매력 산 4선

천의 소요산(559m)은 서울에서 전철로 접근 가능한 편리함 덕분에 공휴일이면 많은 등산객으로 붐빈다. '서화담 양봉래와 매월당이 자주 소요하였다'는 유래를 가진 이 산은 작지만 독특한 산세가 특징이다. 하백운대(440m), 중백운대(510m), 상백운대(559m), 나한대(571m), 의상대(587m), 공주봉(526m)의 여섯 봉우리가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주봉은 상백운대다.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이, 여름에는 녹음과 폭포,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다워 '경기 소금강'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산행은 일주문에서 시작해 다양한 경로로 정상에 오를 수 있으며, 산자락에는 원효대사가 도를 깨우친 자재암이 있다. 이 사찰은 신라 선덕여왕 14년(645년)에 원효가 세운 역사적인 장소다.경북 상주와 충북 영동 경계에 위치한 백화산(933m)은 기와지붕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산릉이 특징이다. 경부고속도로 영동 나들목 근처에서도 그 독특한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주봉 포성봉을 중심으로 정남, 북동, 정동, 남서릉 네 가닥의 능선이 뻗어 있으며, 모든 능선에는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로프가 설치된 절벽 구간이 많아 초보자보다는 경험 있는 등산객에게 적합하다. 칼바위 능선을 따라가는 암릉산행의 쾌감과 시원한 경치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다른 산들을 압도한다는 평가를 받는다.충남에서 가장 높은 서대산(904m)은 삼국시대 신라와 백제의 경계에 위치했던 역사적인 산이다. 산자락에는 옛 성터와 봉화대 흔적이 남아있으며, 동학란과 6·25 전쟁 시기에는 각각 동학군과 빨치산의 아지트로 사용되기도 했다. 불길처럼 우뚝 솟은 산세는 대전 근교와 충북 남서부 어디서든 눈에 띄며, 험준한 산자락에는 깎아지른 절벽과 기암괴석이 부챗살처럼 펼쳐져 있다. 닭벼슬바위, 옥녀탄금대, 견우장연대 등 특이한 바위들과 개덕폭포, 선녀폭포 같은 볼거리가 풍부하다. 대전보다 옥천에서 접근하기 더 용이하다.충북 진천의 만뢰산(612m)은 진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진천읍 백곡면과 충남 천안시 병천면의 경계를 이룬다. '만뢰'라는 이름은 '나라에 난리가 나면 만민이 다 같이 피신할 수 있는 장소'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예전에는 만노산, 보련산, 금물노산, 이흘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산세가 완만하고 위험 구간이 거의 없어 가족 산행지로 인기가 높다. 특히 산자락에는 김유신 장군의 탄생지, 신라 시대 우물인 연보정, 장군의 태를 묻었다는 태령산 태실, 소년 시절 말 달리며 활쏘기 연습을 했다는 치마대 등 역사적 명소가 많다. 여름철에는 비선골 계곡이 등산객들에게 인기 있는 코스다.